오바마와 한국 기자의 질문권

오바마와 한국 기자의 질문권


오바마와 한국 기자의 질문권


과거 2010년 G20 서울 정상회담 폐막식에서는 보기 드문 일이 벌어졌습니다. 바로 당시 미국 대통령이었던 오바마 대통령이 폐막연설 직후 대한민국 기자들에게 질문권을 주었지만 아무도 질문을 하지 못하는 일이 벌어졌던 것이지요.


특별히 대한민국에서 개최되었던 정상회담이었고, 특별히 대한민국 기자들로부터 질문을 받지 못했던 상황이었던지라 그는 대한민국 기자들에게 특별히 질문할 수 있는 시간을 주었던 것이지요.



"오바마 대통령은 한국 기자들에게 질문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습니다."


이렇게 오바마 대통령은 한국 기자들에게 질문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지만, 당시 현장에 있던 우리나라 기자들은 아무도 질문을 하지 않았습니다. 혹시나 "영어"때문에 그런 것일까 싶어서, 통역도 가능하다고 언급을 하는대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기자들은 그 누구도 질문을 하지 않았지요. 한동안 정적이 흐르고, 누군가 일어나서 질문을 합니다.


△ 오바마와 한국 기자들, 그리고 중국 기자


"중국 기자가 아시아를 대표해서 질문을 하겠다고 나선 것이지요."


하지만, 여기에서 일어난 사람은 대한민국 기자가 아니라, 중국 기자였습니다. 오바마 대통령은 다시 한국 기자들에게 우선권을 주겠다고 이야기를 하고 기다려보지만 결국 아무도 질문을 하지 않았고, 결국 질문권은 "중국 기자"에게 넘어가는 사태가 벌어지고 말았던 것이지요.


△ EBS 다큐멘터리에서 소개된 장면


"EBS 다큐멘터리에도 소개가 되었던 장면"


당시 이 장면은 다소 충격적이고 부끄러운 우리 사회의 민낯을 그대로 보여주기도 했습니다. 질문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데도, 아무도 참여하지 않으면서, 아니 못하면서 기회를 다른 나라 기자에게 넘겨주고 말았던 사건이니까요.


그래서 이러한 내용은 EBS 다큐멘터리에서도 소개가 되었습니다. EBS 다큐멘터리에서는 질문하지 않는 대학 강의실의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는데요. 요즘은 이렇게, 노골적으로 질문하지 않는 분위기인지는 모르겠지만, 제가 대학을 다닐 때는 이 정도는 아니었습니다.


"질문을 하지 않는 대학 강의실?"


많지는 않았지만, 수업 중에 질문을 하는 사람들이 종종 있었고, 특히 외국인 교수님이 하는 수업의 경우에는 교수님과 학생들이 함께 수업에 참여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일상적인 일이라고 할 수 있었지요. 물론, 우리나라 문화의 특성상 이렇다고 하러 다고 수업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학생들은 많이 잡아야 30% 정도라고 할 수 있겠지만 말이죠.


하지만, 점점 더 취업이 힘들어지면서, 성적을 잘 받기 위해서 대학을 다니는 풍토가 더 심해지는 것인지, 이렇게 질문하지 않는 문화가 점점 더 심해지고 고착화되고 있는 것이 이날까 합니다.


그러고 보면, 참 이상하지요. 초등학교 학생들은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학생들이 많고, 자신의 생각을 마음껏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은데,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로 학년이 점점 올라갈수록 말수가 적어진답니다. 이제는 우리도 보다 미래로 나아가는 교육으로 변화시킬 때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소인배

Since 2008 e-mail : theuranus@tistory.com

    이미지 맵

    엔터테인먼트/화제의 사건 & 영상 다른 글

    이전 글

    다음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