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카무라 진이치, 콘도 마코토 '암에 걸린 채로 행복하게 사는 법'
사회가 발전해나가면서, 예전에 비해 훨씬 더 풍요로는 삶을 살 수 있게 되면서, 그리고 의료 기술이 발달해 가면서, 사람들은 조금 더 건강하게 오래 살기를 꿈꾼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현대 의학이 발견해 낸, "암"이라고 하는 질병으로 인해 고통받으면서 죽어가는 사람들이 생겨나게 된 것도 사실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책의 공동 저자인 나카무라씨는 이렇게 이야기를 하고 다닌다고 한다. 사람들이 그토록 무서워하는 질병인 "암"에 걸려서 고통스럽게 죽고 싶다니, 정말 아이러니 한 말이 아닐까 싶다. 하지만, 암에 대해서 그들의 이야기하는 바를 자세히 들어보면, 암이 꼭 막연히 무서운 질병인 것만은 아니라는 생각이 들지도 모르겠다.
그들의 말을 간략하게 요약하자면, 평소에도 우리 몸 속에서는 정상 세포와 암 세포가 싸우고 있으며, 이미 한번 암세포가 발생하기 시작하면, 사람의 생명에 치명적인 위협을 가하는 암은 "전이암"이라고 하는데, 이 전이암이 발견되는 시점에서는 이미, 더 이상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고 한다. 조기 발견이라고 할 수 있는 암은 1cm 크기의 암덩어리인데, 이 1cm 크기의 암에는 10억개 이상의 암세포가 있다고 한다. 결국, 조기발견이라고 하지만 조기 발견이 아닌 그런 것이 되는 것이다. 게다가 이미 진짜 암이라면, 이미 조기 발견의 단계에서 다른 여러 장기로 전이된 상태라고 하니 말이다.
아이러니한 이야기이기도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이러한 암 자체가 우리를 고통스럽게 하는 부분은 거의 없다는 것이다. 암에 공격 받아서 우리가 고통스러운 것아 아니라, 암을 치료하기 위한 항암치료가 우리의 몸을 힘들게 하고, 고통스럽게 한다는 것이다.
암이라고 하는 것은 일종의 "자연사, 노쇠사"와 같다고 책의 저자들은 이야기하고 있다. 삶과 죽음의 자연스러운 과정의 하나라는 것이다. 실제로, 예전에 "암"이라고 하는 질병의 정의가 정확하게 내려지기 전에 죽은 사람들은, 암을 선고받고 죽지 않았다고 한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말이다.) 대신, 자연사 했다는 것, 그리고 그들은 큰 고통을 느끼지 않고 서서히 죽어갔다는 것이다. 그렇게 자연사 한 사람들의 시신을 후에 현대 의학이 발달한 이후에 살펴보면, 암으로 죽은 경우도 상당했다고 한다.
아무튼, "암"이라는 질병 자체는 인간사에 자연스럽게 존재하는 것이며, 노화의 산물이며, 사람을 자연스럽게 죽게 만드는 자연의 이치와도 같은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결국, 암을 발견했다는 것은, 자연스럽게 죽어갈 준비를 하면 된다는 이야기가 되는 것이다. 물론 나이가 들고, 이루어 놓을 것을 다 이루어 놓았다고 하면, 암으로 죽는 것은 자연사 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젊은 암 환자들의 경우에는 아쉬운 생각이 들지 않을까 하지만 말이다.
그렇기 떄문에, 굳이 암을 찾아내기 위해서 건강 검진을 할 필요도 없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실제로, 핀란드에서 비슷한 조건의 중년 남녀 1200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했다고 한다. 이 중 600명에 대해서만 건강 검진을 받게 하고, 체중, 혈압, 혈당치, 콜레스테롤 등을 모두 이상적인 수치가 되도록 관리했지만, 15년 후, 건강 검진을 받은 그룹에서 병사, 사고사, 자살 모두 높게 나타났다고 한다.
이 책은 암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 책이지만, 어쩌면 어떠한 마음가짐을 가지고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 부분이라고 할지도 모르겠다. 진정한 인간의 삶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것이다.
단지 생명을 조금이나마 더 유지하기 위한 위루술(위에 호스를 설치하고 음식물을 넣어서 삶을 연명하는 방식)과 괕은 연명치료와 같은 것들, 온 몸에 호스를 꽃아두고 단지 살아있기만 한 시간을 조금 더 유지하는 치료가 가치가 있는 일인가, 그것이 인간다운 일인 것인가에 대한 생각을 해보게 만드는 책이기도 하다. 환자 본인의 의사는 무시하고, 남아있는 주변인의 만족을 위해서 연명 치료를 하는 것이 과연 옳은 것인가에 관한 생각 말이다.
그리고, 일본의 대학병원에 대한 비판 이야기도 등장한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어떤지 잘 모르겠지만, 일본에서 대학병원에 가는 것은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받는다는 의미가 아니라 "좋은 실험 대상이 될 수 있다"라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니... 책에서 이야기하는 "병원"이라는 곳은 "목숨을 걸고 가야하는 곳"이라는 말이 맞는 것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
죽음은 일상 속에 투영되어야 한다는 맥락의 저자의 주장에 동의하는 부분이다. 현대 사회는 삶의 자연스러운 한 과정인 죽음마저도 일상 속에서 볼 수 없게 만들었다. 모든 죽음은 병원일어나는 것으로 말이다. 현대사회에서는 생명도 병원에서 탄생 하듯이 죽음도 병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일까...
아무튼 사회가 발전해나간다고, 많은 편리한 것들이 생겨난다고 해서, 항상 좋은 것만은 아니다라는 것,
얻는 것이 있으면, 그 만큼 잃는 것도 있다는 것, 그런 것이 아닐까...
책은 "암"이라는 내용을 주제로 하고 있지만, 어떻게 살아야 할 지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는 책이 아닐까한다. 의사의 말을 맹목적으로 믿으면서 남에게 의지하려는 삶의 태도를 갖기 보다는, "내 인생을 내가 주도하면서, 주체적인 삶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그런 책인 듯 하다.
사회가 발전해나가면서, 예전에 비해 훨씬 더 풍요로는 삶을 살 수 있게 되면서, 그리고 의료 기술이 발달해 가면서, 사람들은 조금 더 건강하게 오래 살기를 꿈꾼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현대 의학이 발견해 낸, "암"이라고 하는 질병으로 인해 고통받으면서 죽어가는 사람들이 생겨나게 된 것도 사실이다.
"나는 암에 걸려 죽고 싶다."
아이러니하게도 책의 공동 저자인 나카무라씨는 이렇게 이야기를 하고 다닌다고 한다. 사람들이 그토록 무서워하는 질병인 "암"에 걸려서 고통스럽게 죽고 싶다니, 정말 아이러니 한 말이 아닐까 싶다. 하지만, 암에 대해서 그들의 이야기하는 바를 자세히 들어보면, 암이 꼭 막연히 무서운 질병인 것만은 아니라는 생각이 들지도 모르겠다.
"암"의 조기발견은 있을 수가 없다.
그들의 말을 간략하게 요약하자면, 평소에도 우리 몸 속에서는 정상 세포와 암 세포가 싸우고 있으며, 이미 한번 암세포가 발생하기 시작하면, 사람의 생명에 치명적인 위협을 가하는 암은 "전이암"이라고 하는데, 이 전이암이 발견되는 시점에서는 이미, 더 이상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고 한다. 조기 발견이라고 할 수 있는 암은 1cm 크기의 암덩어리인데, 이 1cm 크기의 암에는 10억개 이상의 암세포가 있다고 한다. 결국, 조기발견이라고 하지만 조기 발견이 아닌 그런 것이 되는 것이다. 게다가 이미 진짜 암이라면, 이미 조기 발견의 단계에서 다른 여러 장기로 전이된 상태라고 하니 말이다.
암은 자연사, 노쇠사와 같다.
암이 우리를 고통스럽게 하는 것이 아니라, 항암 치료가 우리를 고통스럽게 한다.
암이 우리를 고통스럽게 하는 것이 아니라, 항암 치료가 우리를 고통스럽게 한다.
아이러니한 이야기이기도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이러한 암 자체가 우리를 고통스럽게 하는 부분은 거의 없다는 것이다. 암에 공격 받아서 우리가 고통스러운 것아 아니라, 암을 치료하기 위한 항암치료가 우리의 몸을 힘들게 하고, 고통스럽게 한다는 것이다.
암이라고 하는 것은 일종의 "자연사, 노쇠사"와 같다고 책의 저자들은 이야기하고 있다. 삶과 죽음의 자연스러운 과정의 하나라는 것이다. 실제로, 예전에 "암"이라고 하는 질병의 정의가 정확하게 내려지기 전에 죽은 사람들은, 암을 선고받고 죽지 않았다고 한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말이다.) 대신, 자연사 했다는 것, 그리고 그들은 큰 고통을 느끼지 않고 서서히 죽어갔다는 것이다. 그렇게 자연사 한 사람들의 시신을 후에 현대 의학이 발달한 이후에 살펴보면, 암으로 죽은 경우도 상당했다고 한다.
아무튼, "암"이라는 질병 자체는 인간사에 자연스럽게 존재하는 것이며, 노화의 산물이며, 사람을 자연스럽게 죽게 만드는 자연의 이치와도 같은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결국, 암을 발견했다는 것은, 자연스럽게 죽어갈 준비를 하면 된다는 이야기가 되는 것이다. 물론 나이가 들고, 이루어 놓을 것을 다 이루어 놓았다고 하면, 암으로 죽는 것은 자연사 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젊은 암 환자들의 경우에는 아쉬운 생각이 들지 않을까 하지만 말이다.
암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한 건강검진은 필요가 없다.
그렇기 떄문에, 굳이 암을 찾아내기 위해서 건강 검진을 할 필요도 없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실제로, 핀란드에서 비슷한 조건의 중년 남녀 1200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했다고 한다. 이 중 600명에 대해서만 건강 검진을 받게 하고, 체중, 혈압, 혈당치, 콜레스테롤 등을 모두 이상적인 수치가 되도록 관리했지만, 15년 후, 건강 검진을 받은 그룹에서 병사, 사고사, 자살 모두 높게 나타났다고 한다.
어떻게 살아가야 할 것인가?
이 책은 암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 책이지만, 어쩌면 어떠한 마음가짐을 가지고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 부분이라고 할지도 모르겠다. 진정한 인간의 삶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것이다.
단지 생명을 조금이나마 더 유지하기 위한 위루술(위에 호스를 설치하고 음식물을 넣어서 삶을 연명하는 방식)과 괕은 연명치료와 같은 것들, 온 몸에 호스를 꽃아두고 단지 살아있기만 한 시간을 조금 더 유지하는 치료가 가치가 있는 일인가, 그것이 인간다운 일인 것인가에 대한 생각을 해보게 만드는 책이기도 하다. 환자 본인의 의사는 무시하고, 남아있는 주변인의 만족을 위해서 연명 치료를 하는 것이 과연 옳은 것인가에 관한 생각 말이다.
그리고, 일본의 대학병원에 대한 비판 이야기도 등장한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어떤지 잘 모르겠지만, 일본에서 대학병원에 가는 것은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받는다는 의미가 아니라 "좋은 실험 대상이 될 수 있다"라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니... 책에서 이야기하는 "병원"이라는 곳은 "목숨을 걸고 가야하는 곳"이라는 말이 맞는 것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
죽음은 가까이 있는 것
죽음은 일상 속에 투영되어야 한다는 맥락의 저자의 주장에 동의하는 부분이다. 현대 사회는 삶의 자연스러운 한 과정인 죽음마저도 일상 속에서 볼 수 없게 만들었다. 모든 죽음은 병원일어나는 것으로 말이다. 현대사회에서는 생명도 병원에서 탄생 하듯이 죽음도 병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일까...
아무튼 사회가 발전해나간다고, 많은 편리한 것들이 생겨난다고 해서, 항상 좋은 것만은 아니다라는 것,
얻는 것이 있으면, 그 만큼 잃는 것도 있다는 것, 그런 것이 아닐까...
책은 "암"이라는 내용을 주제로 하고 있지만, 어떻게 살아야 할 지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는 책이 아닐까한다. 의사의 말을 맹목적으로 믿으면서 남에게 의지하려는 삶의 태도를 갖기 보다는, "내 인생을 내가 주도하면서, 주체적인 삶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그런 책인 듯 하다.
이미지 맵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