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럼버스 데이(Columbus Day): 발견의 날인가, 침묵의 날인가

콜럼버스 데이(Columbus Day): 발견의 날인가, 침묵의 날인가


시작은 한 항해에서 비롯되었다

1492년 10월 12일, 이탈리아의 항해가 크리스토퍼 콜럼버스(Christopher Columbus)는 스페인의 후원을 받아 대서양을 건넌다. 목적지는 아시아였지만, 그가 도착한 곳은 지금의 카리브해에 위치한 섬들이었다.
이 항해는 오랜 세월 동안 "신대륙의 발견"이라 불리며, 세계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기억되어 왔다.
그리고 이 사건을 기념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바로 콜럼버스 데이(Columbus Day)다.

 

처음으로 미국 내에서 이 날을 기념한 것은 1792년, 콜럼버스의 항해 300주년을 맞은 해였다. 이후 이민자 집단, 특히 이탈리아계 미국인 커뮤니티는 콜럼버스를 자신들의 정체성과 자부심의 상징으로 여겼고, 그를 기념하는 날을 전국적인 공휴일로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하게 된다.


결국 1937년, 당시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는 콜럼버스 데이를 미국 연방 공휴일로 공식 제정하게 된다.

 

무엇을 기념하고자 했는가

콜럼버스 데이는 표면적으로는 유럽인의 아메리카 대륙 도달을 기념하는 날이다. 많은 사람들에게 이 날은 탐험 정신, 용기, 대담한 도전의 상징처럼 여겨져 왔다.


특히 20세기 초반, 사회적 차별과 편견 속에서 미국에 정착한 이탈리아계 이민자들에게 콜럼버스는 자신들이 이 땅에 속할 수 있음을 상징하는 인물이었다.

 

그들은 콜럼버스를 통해 “우리는 이 나라의 역사와 연결되어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했고, 그 기념일은 곧 다문화 사회에서의 소속감과 자긍심을 드러내는 수단이 되었다.


그래서 콜럼버스 데이는 단지 역사적 사건의 기념만이 아니라, 특정 커뮤니티의 문화적, 정치적 권리를 주장하는 방식이기도 했다.

그러나 모든 사람에게 같은 날은 아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이 날을 바라보는 시선은 크게 달라지기 시작한다. ‘신대륙의 발견’이라는 말 자체가 문제가 있는 표현이라는 인식이 확산되었기 때문이다.


콜럼버스가 도착하기 오래전부터 아메리카 대륙에는 수백 개의 원주민 부족과 문명이 존재하고 있었다.
그렇기에 많은 이들은 묻기 시작했다.


“이미 사람이 살고 있던 땅을 어떻게 ‘발견’했다고 말할 수 있는가?”

 

더 큰 문제는, 콜럼버스의 항해 이후 원주민들에게 닥친 역사였다. 전염병, 강제 노동, 식민 지배, 폭력, 문화 말살…
콜럼버스와 그 뒤를 이은 유럽 제국주의는 원주민 사회에 지울 수 없는 상처와 고통을 남겼고, 이 날은 원주민 공동체에게 기념이 아니라 비극의 시작을 상징하게 되었다.

 

논쟁의 중심에 선 기념일

이러한 인식의 변화는 결국 미국 사회에 커다란 논쟁을 불러일으킨다. 어떤 이들은 콜럼버스를 역사적 인물로서 존중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또 어떤 이들은 그의 행동과 그 이후의 결과를 감안할 때 그를 기리는 것은 부당하다고 말한다.
콜럼버스 데이는 그렇게 단순한 공휴일이 아니라, 기억과 해석의 충돌 지점이 된다.

 

이에 따라 많은 도시와 주에서는 콜럼버스 데이를 대체하거나 재정의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기 시작했다. 특히 1990년대 이후, 점점 더 많은 곳에서 이 날을 ‘원주민의 날(Indigenous Peoples’ Day)’로 바꾸기 시작했고, 이는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흐름이다.

 

일부 지역에서는 두 이름이 공존하기도 하고, 어떤 곳에서는 완전히 대체되기도 한다.
이 변화는 단지 명칭의 문제가 아니라, 누구의 이야기를 기억하고, 누구의 고통을 인정할 것인가에 대한 선택이다.

오늘날의 콜럼버스 데이

현재 콜럼버스 데이는 미국 연방 정부의 공휴일로 유지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이 날을 공식적으로 기념하지 않는 주와 도시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대신 원주민의 문화와 역사, 정체성을 조명하는 행사들이 이 날을 채우고 있으며, 교육 현장에서도 콜럼버스를 보다 비판적인 시각에서 가르치려는 노력이 늘고 있다.

 

한편으로, 이탈리아계 미국인 공동체는 여전히 콜럼버스를 자신들의 문화적 상징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이 기념일의 보존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상반된 입장은 과거의 인물과 사건을 어떻게 기억하고 기념할 것인가에 대한 미국 사회의 깊은 내적 갈등을 보여준다.

역사를 다시 말하는 용기

콜럼버스 데이에 대한 논쟁은 사실 특정 인물에 대한 평가를 넘어서, 역사를 다시 바라보는 시선에 대한 이야기다.
우리는 과거를 단순히 미화할 수도, 완전히 지워버릴 수도 없다. 중요한 것은 그 과거를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이며, 오늘의 교훈으로 삼느냐에 있다.

 

콜럼버스 데이는 그래서 불편할 수 있다.
하지만 때로 불편함이 진실을 향한 첫걸음이 되기도 한다.
그 날의 진짜 의미는 어쩌면, 우리가 더 나은 기억의 방식을 찾기 위한 대화의 시작점에 있는지도 모른다.

참고자료

 

디스커버리 데이 (Columbus Day) –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대륙 발견

디스커버리 데이(Columbus Day)는 1492년 10월 12일,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에 도달한 사건을 기념하는 미국의 공휴일입니다. 이 날은 미국과 다른 여러 나라에서 기념되고 있으며, 그

learningenglish.co.kr

 

소인배

Since 2008 e-mail : theuranus@tistory.com

    이미지 맵

    도서관/역사 & 문화 다른 글

    이전 글

    다음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