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가 하나의 리그로 시작하지 않았다는 사실
오늘날의 메이저리그는 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야구 리그이자, 수많은 야구 팬들이 시즌 내내 바라보는 무대야.
하지만 이 커다란 리그는 처음부터 하나의 단일한 조직으로 시작된 것이 아니었다.
그 뿌리를 따라가다 보면, 두 개의 다른 세계, 즉 네셔널리그와 아메리칸리그라는 이원적 구조가 드러난다.
이 둘은 단지 이름만 다른 리그가 아니라,
각기 다른 시기에 태어나고, 다른 철학과 스타일을 지닌 채로 성장해왔으며,
때로는 협력하면서도, 때로는 라이벌처럼 대립하며 미국 야구의 역사를 이끌어온 쌍두마차였다.
먼저 태어난 리그, 네셔널리그
1876년, 미국에서 처음으로 조직적인 프로 야구 리그가 만들어진다.
이것이 바로 오늘날에도 이어지고 있는 네셔널리그(National League)다.
당시만 해도 야구는 지역별 아마추어 팀들 중심으로 느슨하게 운영되고 있었고,
그 틀에서 벗어나 수익과 흥행을 추구하는 프로 야구로서의 전환을 시도한 것이 이 네셔널리그였다.
네셔널리그는 그 역사만큼이나 전통과 보수의 색채를 강하게 띠고 있었다.
경기 운영 방식에도 그런 경향이 스며들었고,
특히나 20세기 후반까지 지명타자(DH, Designated Hitter) 제도를 도입하지 않고,
투수도 직접 타석에 서는 방식을 고수했다.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은 네셔널리그를 “전략 야구의 무대”라 부르기도 했다.
번트, 대타, 더블 스위치와 같은 섬세한 전술 운용이 살아 있는 야구—그것이 바로 네셔널리그의 얼굴이었다.
아메리칸리그의 등장은 하나의 도전
네셔널리그가 19세기 말까지 야구계를 주도하고 있던 시기,
1901년, 새로운 리그가 등장한다.
바로 아메리칸리그(American League)다.
아메리칸리그는 초창기부터 보다 공격적인 운영, 그리고 선수들과 팬 친화적인 태도를 표방했다.
이들은 네셔널리그의 ‘배타적’이고 ‘보수적인’ 운영에 맞서
더 많은 스타 선수들과 계약하며 리그를 키워갔고,
1903년에는 양 리그의 챔피언이 맞붙는 ‘월드시리즈(World Series)’가 처음으로 열리며
양 리그는 비로소 공존의 틀을 마련하게 된다.
1973년, 아메리칸리그는 결정적인 선택을 한다.
지명타자 제도(DH)를 도입하며, 투수를 타석에 세우는 대신 전문 타자를 기용하는 시스템을 도입한 것이다.
이는 공격력을 높이고, 경기의 흥미를 더하며,
결국 아메리칸리그를 보다 다이내믹하고 파워풀한 야구로 인식하게 만드는 계기가 된다.
두 리그, 하나의 리그
이렇게 서로 다른 철학과 스타일로 운영되던 두 리그는,
시간이 흐르며 점점 더 하나의 메이저리그로 통합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1990년대 이후, 리그 사무국이 하나로 통합되고,
인터리그(interleague, 리그 간 정규 시즌 경기) 제도가 도입되면서
두 리그 사이의 교류가 활발해졌고,
2022년부터는 아메리칸리그와 네셔널리그 모두 지명타자 제도를 채택하면서
기술적인 차이도 사실상 사라지게 된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두 리그의 개성과 전통이 완전히 지워진 것은 아니다.
팀의 역사, 팬들의 정서, 그리고 리그가 걸어온 시간 자체가 여전히
‘AL팀’과 ‘NL팀’의 뿌리를 지켜주고 있다.
야구를 더 풍요롭게 만든 이원 구조
두 리그의 존재는 마치 야구라는 하나의 언어를, 서로 다른 억양으로 말하는 두 화자 같았어.
누군가는 전략을 중시했고,
누군가는 타격의 박진감을 사랑했다.
어떤 이들은 월드시리즈에서 두 리그가 만날 때
비로소 야구가 하나의 완성된 이야기가 된다고 느꼈고,
누구나 한 번쯤은 “너는 아메리칸리그파야, 네셔널리그파야?” 하는 질문을 받아봤을지도 몰라.
그렇게 야구는,
경쟁을 통해 더 나아졌고,
차이를 통해 더 다채로워졌고,
두 리그 사이의 은근한 긴장과 대조를 통해
하나의 스포츠를 훨씬 더 풍부하고 입체적인 문화로 만들어냈다.
참고자료
미국 메이저리그: 아메리칸 리그와 내셔널 리그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ajor League Baseball, MLB)이 아메리칸 리그(American League, AL)와 내셔널 리그(National League, NL)로 나뉘게 된 이유는 역사적인 배경과 함께, 각 리그의 발전과 차별화된 운영 방식에
learningenglish.co.kr
이미지 맵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