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년전쟁: 한 왕위를 두고 시작된 유럽의 긴 그림자

백년전쟁: 한 왕위를 두고 시작된 유럽의 긴 그림자


전쟁은 언젠가 끝나지만, 이유는 끝나지 않는다

"백년전쟁"이라는 이름을 처음 들었을 땐 아마 대부분 이렇게 생각할지도 몰라.
"정말로 100년 동안 싸운 거야?"
대답은… 그렇다고도, 아니라고도 할 수 있어.

이 전쟁은 정확히 1337년부터 1453년까지, 무려 116년에 걸쳐 이어진 긴 분쟁이었고,
단 한 번의 전투로 끝난 것이 아니라,
전쟁과 휴전, 평화와 재개, 음모와 반란이 얽힌 복합적인 역사적 흐름이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언제나 두 나라가 있었다 — 프랑스와 잉글랜드.

 

왕위 계승은 누구의 몫인가

이 거대한 전쟁의 불씨는 의외로 단순한 물음에서 시작되었다.
"프랑스 왕이 죽었는데, 다음 왕은 누가 될까?"

1328년, 프랑스의 샤를 4세가 아들을 남기지 못한 채 죽으면서,
왕위 계승권이 복잡하게 얽히게 된다.
당시 프랑스 귀족들은 "여자는 왕위를 잇지 못한다"는 살리카 법을 내세워,
샤를의 조카이자 잉글랜드 왕인 에드워드 3세의 계승권을 부정하고
다른 후보인 필리프 6세를 왕으로 앉힌다.

하지만 에드워드 3세는 자신이 정당한 왕위 계승자라고 주장하며
전쟁의 깃발을 들어올린다.
그것은 단순한 분노가 아니었다.
그것은, 잉글랜드와 프랑스가 누가 더 오래, 넓게, 강하게 통치할 것인가에 대한 선언이었다.

중세의 전쟁, 그 안의 인간들

전쟁은 중세 유럽 전역을 휘몰아쳤다.
가끔은 검으로, 가끔은 불로, 가끔은 식량과 세금으로.
그리고 그 안에는 수많은 전투와 사건들이 담겨 있다.

크레시 전투(1346)에서는 잉글랜드의 장궁(longbow)이 프랑스 기사들의 돌격을 꺾으며
중세 전쟁 방식의 전환점을 보여줬고,
푸아티에 전투(1356)에서는 프랑스 왕이 포로로 잡히는 굴욕을 겪는다.

하지만 전쟁은 단지 군대끼리의 싸움만이 아니었다.
농민들은 약탈당했고,
도시들은 불탔으며,
페스트와 기근이 덮치며 인구는 급감했다.
그리고 어느 순간, 이 전쟁은 단지 왕들의 권리를 위한 싸움이 아니라
사람들의 생존을 건 투쟁으로 변해버렸다.

 

조용히 떠오른 소녀, 잔 다르크

전쟁이 한참을 지나며 프랑스는 점점 밀리고 있었다.
영국은 북부와 서부를 점령했고, 파리마저 위태로웠다.
그때, 1430년대, 프랑스 땅 한가운데서 조용히 한 소녀가 등장한다.
그 이름은 잔 다르크(Jeanne d'Arc).

그녀는 하느님의 계시를 받았다고 주장하며, 프랑스 왕세자에게 다가가
"당신이 진정한 왕임을 증명해야 한다"고 말한다.
처음엔 아무도 믿지 않았지만, 그녀가 이끄는 군대는 오를레앙 공방전에서 극적인 승리를 거두고,
프랑스는 점차 다시 싸울 힘을 되찾는다.

잔 다르크는 결국 영국 측에 붙잡혀 이단자라는 이름으로 화형당하지만,
그녀의 등장은 프랑스 사람들에게 단지 전쟁을 넘어선 정체성과 희망의 불씨를 남긴다.

전쟁의 끝, 그리고 새로운 시작

1453년, 카스티용 전투에서 잉글랜드가 결정적인 패배를 당하며
드디어 백년전쟁은 끝을 맺는다.
이로써 잉글랜드는 프랑스 대륙에서 대부분의 영토를 상실하고,
남은 건 해협 건너의 섬나라 영국만이 된다.
프랑스는 마침내 중앙집권적인 왕국으로서 재건되며
현대적인 국가의 형태를 갖춰가기 시작한다.

백년전쟁이 남긴 것들

이 전쟁은 단순한 영토 분쟁이 아니었다.
그것은 중세 유럽의 정치 구조, 군사 전략, 국민의식을 뒤흔든 대사건이었다.

  • 기사 중심의 봉건 사회는 쇠퇴하고,
  • 화약과 총기의 등장으로 전투 방식이 바뀌었으며,
  • 사람들은 더 이상 “왕을 위한 전쟁”이 아니라, “민족과 국가를 위한 전쟁”을 인식하게 되었다.

그리고 어쩌면 그 전쟁은 프랑스와 잉글랜드라는 두 나라의 국민 정체성을 낳은 결정적인 계기였는지도 모른다.

참고자료

 

백년전쟁(Hundred Years’ War): 영국과 프랑스의 전쟁

백년전쟁(1337-1453)은 잉글랜드 왕국과 프랑스 왕국 간의 오랜 군사적 충돌로, 약 116년 동안 이어졌습니다. 이 전쟁은 프랑스 왕위 계승 문제, 영토 분쟁, 경제적 경쟁 등이 얽혀 있었으며, 전쟁의

learningenglish.co.kr

 

소인배

Since 2008 e-mail : theuranus@tistory.com

    이미지 맵

    도서관/역사 & 문화 다른 글

    이전 글

    다음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