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진 유리창 이론"이란?
1980년대의 뉴욕 지하철은 가히 무법천지라고 부를 수 있을 정도로 사건사고가 많이 벌어지는 곳이었습니다. 뉴욕 지하철에서 발생하는 연간 강력범죄는 15,000건. 하루에 발생하는 무임승차의 횟수는 25만 건이나 될 정도로 걷잡을 수 없는 수준이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1988년부터 지하철에서 일어나는 강력범죄가 무려 75%나 하락하게 되었습니다. 도대체 이러한 지하철에서 무슨 일이 벌어졌던 것일까요?
"뉴욕 지하철의 범죄율 하락을 가져온 원인은?"
1990년대 들어오면서 뉴욕 지하철은 사소한 것에 집중하기 시작했습니다. 사소하지만 쉽게 발생하는 자잘한 범죄들을 집중 단속하기 시작한 것이죠. 무임승차와 같은 작은 무질서들을 단속하기 시작했습니다. 이와 동시에 열차를 가득 뒤덮고 있던 낙서를 청소하기 시작하는 모습이었습니다.
이러한 사소한 것들을 지키는 것에 있어서 원칙을 지키고 있는 모습이었는데요. 혹시나 열차에서 조그마한 낙서라도 발견이 되면, 다음날 열차를 운행하기 전까지 무슨 일이 있어도 열차에 그려진 낙서를 모두 지운 뒤에야 열차 운행을 할 정도로 강력하게 이렇게 사소해 보이는 부분들에 집중했다고 합니다.
이렇게 노력한 결과로 뉴욕 지하철에서의 범죄율은 줄어들게 되었고, 사람들은 이제부터 안심하고 지하철을 탈 수 있게 되었죠.
"뉴욕 지하철이 사소한 것에 신경을 쓴 이유는 무엇일까?"
뉴욕 지하철이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서 사소한 것에 집중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러한 행동의 배후에는 "깨진 유리창의 법칙"이 있지 않았을까 합니다. 깨진 유리창의 법칙은 미국의 심리학자 조지 켈링과 제임스 윌슨이 1982년 발표한 이론입니다.
"조지 켈링의 깨진 창문 이론 혹은 깨진 유리창 이론 (Broken Window Theory)"
깨진 유리창 이론을 쉽게 요약하면, "깨진 창문을 그대로 방치하면 더욱더 많은 범죄가 발생하게 된다."는 내용의 이론이었는데요. 사소한 문제점을 방치하게 되면 사람들은, 그 누구도 신경 쓰지 않는다는 생각을 하게 되고, 이는 더 많은 범죄를 가져오게 된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이들의 이러한 주장은 "뉴욕 지하철 정비사업"에 잘 맞물리면서 증명이 되는 모습이었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교육방송 채널인 EBS에서도 인간의 두 얼굴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위의 이론을 뒷받침하는 실험을 선보인 바가 있습니다.
"쓰레기봉투 실험"
서울의 한 도심가에 시민들이 쓰레기를 무단으로 투척하는 곳이 있었습니다. 이 곳에는 CCTV가 단속하고 있다는 위협도, 무단투기 금지 관련 경고문도 아무런 소용이 없는 모습이었는데요. 이렇게 쓰레기가 무단으로 버려지는 장소에 이들은 쓰레기봉투 하나를 슬쩍 던져두고, 사람들의 행동을 관찰했습니다.
쓰레기가 있는 것을 본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더 많은 쓰레기를 가져오게 되면서 이 곳을 쓰레기장으로 만들어 버렸습니다.
"쓰레기 무단 투기 구역에 쓰레기를 버리지 않게 하려면?"
이렇게 사람들이 쓰레기를 아무런 생각 없이 무단으로 투기하는 장소를 그들은 "쓰레기가 버리지 않는 구역"으로 만들어 보고 싶었는데요. 이들이 취한 방법은 무엇이었을까요?
이들이 취한 방법은 쓰레기 무단 투기 장소에 "화단"을 설치하는 것이었습니다. 화단이 설치되어 있으면 다른 사람들이 이 구역은 누군가가 관리하고 있는 소중한 공간이다라는 인식을 하게 되고, 자연스럽게 쓰레기를 버리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을 한 것이죠. 그들은 이렇게 쓰레기가 무단으로 투기되던 공간 옆을 화단으로 바꾸어 놓은 후 카메라를 설치해두고 사람들의 행동을 지켜보았습니다.
화단으로 변신한 공간, 사람들은 쓰레기를 버렸을까요? 그렇지 않았을까요? 신기하게도 사람들은 쓰레기를 무단으로 투기하지 않았습니다. 카메라에는 단 한 명의 사람이 쓰레기를 버리려고, 쓰레기를 두고 가려고 하다가 다시 도로 가져가는 모습이 잡혔을 뿐이었습니다.
정말 사소한 변화 하나가 사람들의 불법적인 행동을 멈추어버린 것이지요.
"창문이 깨지고 문이 열린 자동차 실험"
EBS에서는 또 다른 실험을 하나 준비했습니다. 이번에는 정말 말 그대로 "깨진 창문 이론"을 실현하는 모습이었습니다. 문이 열리고 방치된 듯한 느낌이 물씬 풍기는 자동차를 골목에 세워둔 것이죠. 여기에 자동차의 창문까지 망치로 깨버립니다. 그리고 차 안에는 카메라와 지갑을 놓아두었습니다. 이렇게 말 그대로 "깨진 유리창"을 가진 자동차를 두고 사람들의 행동을 관찰합니다.
이렇게 방치된 듯한 느낌이 드는 차에 사람들은 어떻게 반응했을까요? 여러 사람들이 차 주변을 기웃기웃 걸렸고, 관찰 몇 시간 만에 한 사람이 차에 탑승하여 카메라와 돈이 든 지갑을 가지고 도망가고 맙니다.
"더 큰일을 치르지 않으려면 사소한 것부터 돌보도록 합시다."
이렇게 사소한 무질서는 더 큰 무질서를 불러일으킵니다. 사소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방치하게 되면, 더 큰 문제를 가져올 수 있다는 소리가 되겠지요. 이러한 교훈에 힘입어, 더 큰 화를 당하지 않으려면, 미리미리 사소한 잘못된 부분들에 신경을 쓰는 모습을 보여야 할 것입니다.
참고자료 : EBS 다큐프라임 인간의 두 얼굴, 사소한 것의 기적
이미지 맵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