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의 금요일과 불길한 숫자 13?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 한중일 3국에서는 숫자 4를 불길한 숫자로 간주합니다. 그 이유는 한자 숫자 四와 죽음을 의미하는 한자 死의 발음이 같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우리나라와 같은 한자 문화권의 국가에서는 숫자 4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기독교 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서양문화권에서는 오히려 숫자 13을 더 좋지 않은 숫자로 생각한답니다. 서양에서는 왜 이렇게 숫자 13을 불길한 숫자로 여기는 것일까요? 그 내용을 한 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숫자 13이 불길한 이유, 13일의 금요일"
13이라는 숫자를 떠올리면 항상 함께 생각나는 날이 있습니다. 바로 "13일의 금요일"이지요. 13일의 금요일은 영화로도 제작이 되면서 사람들의 뇌리에 더욱더 각인이 된 경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13일의 금요일이 불길한 날로 여겨지는 이유는 "기독교"와 관련이 있습니다.
예수님은 자신이 붙잡혀 죽음을 당할 것을 알고, 열두 명의 제자들을 초대해서 마지막 식사를 했습니다. 이 자리에 초청된 제자가 12명이고, 예수를 포함하면 13명이 되었다고 하는데요. 하필이면 여기에 예수를 팔아넘긴 유다가 마지막 손님으로 들어와서 13번째 사람이 되었다고 하지요.
유다는 결국 식사 도중에 병사들에게 예수님의 위치를 알려주고 돈을 받았다고 합니다. 이후, 병사들에게 발각된 예수님은 다음 날인 "금요일"에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음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이야기에서 13명의 사람들과 13번째 손님의 배신과 "금요일"이라는 날짜를 조합해서 "13일의 금요일"을 부정적인 날로 생각한답니다.
△ 최후의 만찬
"노르웨이 신화에서의 불길한 숫자 13"
숫자 13이 불길한 의미를 가지는 것은 노르웨이 신화에서도 등장합니다. 옛날 발할라 신전에서 잔치가 열렸는데, 여기에는 12명의 신이 초대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여기에 초대받지 않은 13번째 신이 등장합니다. 이 13번째 신은 "분쟁과 악의 신"인 "로키(LOKI)"였는데요.
이 신을 몰아내기 위해서 신들끼리 다툼이 벌어지게 되었고, 그 와중에 가장 사랑받는 신인 "발더"가 살해되었다고 하지요. 여기에서부터 13이라는 숫자가 불길한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고 합니다.
"13이 불행을 가져온 그 외의 경우들"
역사와 신화 속에서는 위와 같은 이야기가 있는데요. 실제 역사 중에서도 13과 관련된 좋지 않은 일화가 제법 있다고 합니다. 우선 먼저 떠올려 볼 수 있는 내용으로는 아폴로 13호가 13일에 사고를 당했는데, 이 우주선의 발사시간이 1시 13분이었다고 하지요.
또한 과거 영국 해군이 13일의 금요일에 배를 출항시켰는데, 그 배가 사라졌다는 이야기가 있기도 합니다.
"13일의 금요일 바이러스라고 불렸던 예루살렘 바이러스"
13일의 금요일과 관련된 컴퓨터 바이러스가 있기도 했습니다. 이는 13일의 금요일 바이러스라고 불리기도 했고, 예루살렘 바이러스라고 불리기도 했는데요. 이 바이러스는 1987년에 이탈리아에서 발견되어, 우리나라에서는 1989년에 처음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이 바이러스는 감염된 컴퓨터에 잠복해 있다가 "13일의 금요일"에 집중적으로 나타나, "*.COM", "*.EXE"와 같은 실행파일을 파괴하고 지워버리는 것이 특징이었는데요. 그래서 한동안 "13일의 금요일"에는 컴퓨터를 켜지 말아야 한다는 이야기가 돌기도 했다고 합니다.
"불길한 숫자 13의 영향"
이렇게 13은 서구권에서 특히 불길한 숫자로 여겨집니다. 그래서 프랑스의 경우에는 13이라는 숫자를 주소에 사용힞 않는다고 하지요. 미국에서는 비행기의 좌석에 13열이 없다고 합니다. 또한 대부분의 고층건물에서 12층 다음에는 13층이 없이 14층으로 바로 넘어가도록 되어 있다고 하지요.
우리나라의 일부 건물에서 "4층" 대신 "F"라고 표기하고 있는 것과 비슷한 현상이라고도 할 수 있답니다. 여기까지, 숫자 13이 가지는 불길함의 근원에 대해서 한 번 살펴보았습니다.
이미지 맵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