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라 보로디츠스키 “언어는 우리의 사고를 형성한다.”

레라 보로디츠스키 “언어는 우리의 사고를 형성한다.”


레라 보로디츠스키 “언어는 우리의 사고를 형성한다.”


언어에 대한 연구는 지금도 끊잉 없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는 여러 가지의 가설이 있고, 그럴듯한 설명이 있을 뿐, 언어에 대해서 정확하게 정의할 수 없는 상황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외국어를 공부하는 방법 역시도 다양하고, 이는 다양한 이론과 경험에 바탕을 두고 있는 것이지요.



“언어는 우리의 사고를 형성한다?”


이번에는 TED 강연 중에서 스탠퍼드 대학교 심리학과의 “레라 보로디츠스키(Lera Boroditsky)” 교수의 강연에 대해서 한 번 살펴보려고 합니다.


강연의 제목은 바로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는 우리가 사고하는 방식을 어떻게 형성하는가(How language shapes the way we think.)”라는 제목의 강연입니다.


강연의 핵심 내용은 간단합니다. 바로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는 우리의 사고방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내용을 전달하고 있는 것이지요.



“To have a second language is to have a second soul.”


과거 신성 로마제국의 황제(Holy Roman Emperor) 카를루스 대제(Charlemegne)는 언어를 배우는 것에 대해서 이렇게 이야기를 하기도 했습니다.


“To have a second language is to have a second soul.” (두 번째 언어를 갖는 것은 두 번째의 영혼을 갖는 것이다.)


이렇게, 마치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것을 다른 영혼을 갖는다는 것에 비유를 하기도 했는데요. 실제로 납득이 가는 내용이기도 합니다. 여러 가지 언어를 사용하는 입장에서 보면, 충분히 이해가 가는 내용이지요.


특히, 우리말과 거리가 먼 서구권 언어인 “영어”, “스페인어” 등을 살펴보면, 우리말과는 굉장히 다르고, 그 사고방식 자체도 완전히 다른 것을 볼 수 있으니까요. 사실, 이렇게 언어별로 갖는 사고방식의 차이점으로 인해서 우리가 외국어로서 영어를 공부할 때 힘이 드는 것이기도 합니다.



“호주의 쿠르 세이요르 부족의 예시”


이러한 그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서 강연자는 “호주”의 “쿠르 세이요르 부족(Kuuk Thaayorre)”의 언어를 예로 들기도 합니다.


이 부족은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왼쪽 / 오른쪽”의 개념이 없이, 모든 방향을 “동/서/남/북”으로 표현한다고 하지요.


게다가, 인사를 하는 경우에도 “HELLO”라는 말을 하지 않고, “어디로 가는 중이니?(Which way are you going?)”이라는 말로 인사말을 대체한다고 합니다.


이러한 예시를 시작으로, 각각의 언어가 가진 “사고 형성”에 대한 차이를 보여주며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시간 개념에 대해서...”


두 번째로 이야기하고 있는 내용은 바로 “시간 개념”입니다. 일반적으로 어떤 내용을 시간 순서로 정렬하라고 하는 경우, 대부분의 사람들은 “과거”를 좌측에 놓고, “미래”를 우측에 놓습니다.


하지만, 그 반대의 경우가 있기도 하지요. 바로 “글씨”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는, 이스라엘 사람과 아랍 사람들이지요. 이들은 우측에 과거를 놓고, 좌측에 미래를 놓는다고 합니다.


이렇게 시간 순서를 배치하는 것 역시도 언어에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있지요.



“숫자 / 색채 개념에 대해서...”


이어서 숫자 개념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도 합니다. 펭귄이 8마리 있는 사진을 보여주며, 이야기하는데, 어떤 문화권의 언어에서는 숫자 7이나 8이 없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색채 개념 역시도 마찬가지입니다. 강연에서는 영어의 “BLUE”와 러시아어의 “파란색”의 개념에 대해서 소개를 했는데요.


러시아에서는 파란색의 개념을 크게 “GOLUBOY / SINIY”로 나누어서 본다고 하지요. 우리에게는 같은 파란색이라고 하더라도 러시아 사람들에게는 여러 가지의 파란색으로 보인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우리말에서도 비슷하게 일어나기도 합니다. 우리는 “푸른색” 혹은 “파란색”을 영어의 “BLUE”에 적용해서 사용하기도 하고, “GREEN”에 적용해서 사용하기도 하지요.


“여성 명사 / 남성 명사... GRAMMATICAL GENDER”


우리말에는 명사에 성이 없지만, 유럽 언어에는 이렇게 명사에도 성이 결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스페인어와 독일어에서 이런 내용을 찾을 수 있는데,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등에서도 찾을 수 있습니다.


강연에서는 스페인어와 독일어의 극단적인 예시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같은 해와 달이라고 하더라도, 독일어에서는 해를 “여성”으로 달을 “남성”으로 보는 반면, 스페인어에서는 해를 “남성”, 달을 “여성”으로 놓고 봅니다.


저는 스페인어만 조금 공부했으므로, 스페인어를 보충해서 보면, 스페인어의 해는 “EL SOL”로 남성 명사에 쓰이는 정관사 “EL”이 붙고, 달에는 “LA LUNA”로 여성 명사에 쓰이는 정관사 “LA”가 붙습니다.


“다리”를 의미하는 “BRIDGE” 역시, 독일어와 스페인어는 차이를 보입니다. 독일어에서의 다리는 “여성 명사”로, 스페인어에서는 “남성 명사”로 쓰이면서, 스페인 사람들이 다리를 떠올리면, 단단하고 강한 느낌을 떠올리는 반면, 독일 사람들이 다리를 떠올리면 아름다운 이미지를 떠올리게 되는 것과 반대된다고 할 수 있지요.


참고로 영어의 BRIDGE에 해당하는 스페인어는 “EL PUENTE”입니다.



“사건의 묘사하는 방식의 차이”


이것 외에도 각각의 다른 언어에서는 같은 장면을 보고도 다르게 묘사합니다. 특히, 사건을 묘사하는 방식에서 영어에서는 주로 “누가 … 했다. (WHO DID IT.)이라는 형태로 묘사하는 반면, 스페인어에서는 “…한 사건이 있었다.”와 같은 형태로 묘사하는 편이지요.


이는 우리말에서도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우리말의 사고방식과 영어의 사고방식이 달라서 같은 장면을 보고도 다르게 설명하는 것이지요.


결국 강연의 핵심은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가 우리의 사고방식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 강연을 통해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요?


외국어를 공부하는 사람이라면, 우리말의 사고방식과 외국어의 사고방식의 차이를 알고 공부하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리고, 그 언어를 사용하는 화자의 개념을 가지고 그 언어를 배우면 더욱더 도움이 되겠지요.


“한국어와 영어의 사고의 차이점”


아마도, 우리는 영어를 공부하는 사람들이 많을 테니, 영어와 우리말의 차이점을 한 번 떠올려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영어와 우리말의 간극은 엄청나며, 많은 부분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우선, 제가 생각나는 대로 정리를 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1. 어순 (영어 : 주어 + 동사 + 목적어 / 한국어 : 주어 + 목적어 + 동사)

2. 수동문 (한국어 : 대부분이 능동문, 영어 : 능동문 / 수동문 비율 비슷)

3. 관사 + 명사의 개념 (영어 : 셀 수 있는 명사, 셀 수 없는 명사, 관사가 있음)

4. 전치사 / 조사 (한국어 : 조사, 영어 : 전치사 있음)

5. 시제 (다양한 시제가 있는 영어)

6. 말하는 성향 (영어 : 결론부터, 한국어 : 결론은 마지막에)


이 정도를 정리해볼 수 있는데, 이것 외에도 자세히 파고들고, 살펴보면, 우리말과 전혀 다른 차이를 보이는 것들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내용은 나중에 따로 시간을 내서 한 번 살펴보는 것으로 하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여기까지, “레라 보로디츠스키” 교수의 “언어가 사고에 영향을 미친다.”라는 내용의 TED 강연에 대해서 한 번 살펴보았습니다.


소인배

Since 2008 e-mail : theuranus@tistory.com

    이미지 맵

    도서관/강연 다른 글

    이전 글

    다음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