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 벤-샤하르(Tal Ben-Shahar) '해피어(Happier)' "하버드대 행복학 강의"
아이비리그의 3대 명강의로 꼽히는 3가지 주제, 이미 유명하게 알고 있는, 하버드 대학교 마이클 센델 교수의 "정의", 예일 대학교 셸리 케이건 교수의 "죽음", 그리고 그 마지막 3번째 명강의가 바로 하버드 대학교 탈 벤-샤하르 교수의 "행복"을 주제로 한 강의가 되겠다. 사실, 3가지 강의 중에서 가장 먼저 인기를 끈 강의는 아마, "행복"을 주제로 한 이 강의인 듯 하다. 무려 855명의 수강생이 등록하면서 대학에서 수강생이 가장 많은 강좌가 되었다고 이야기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행복"이라는 주제는 모든 사람들이 궁금해하고, 알고 싶어하고, 그것을 추구하고 싶어하는 그러한 주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추상적 개념인 "행복"은 과연 무엇인가? 우선 그것이 무엇인지부터 한번 알아보아야 할 것이다. 무언가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려면 그것의 정의부터 명쾌하게 내리고 시작을 해야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미 앞서서 읽어본 2개의 아이비리그 명강의 "정의"와 "죽음"에 대해서는 이 용어에 대한 정의를 내려보기 위해 상당히 많은 질문을 던지고, 많은 상황을 가정해보는 것으로 이야기를 이끌어 나가는 편이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강의의 경우에는 그것과는 다르게, 우선 저자인 탈 벤-샤하르 교수는 우리 모두는 "행복"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고 언제 행복을 느끼는지 알고 있지만, 정확하게 행복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정의를 내리지 못하고, 본인 조차도 그것에 대해서 명쾌하게 해결을 할 수가 없을 것이라고 이야기를 하고 있다. "나는 행복한가?"라는 질문을 던지는 대신, "어떻게 하면 조금 더 행복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져보는 것이 현명한 판단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이야기를 하고 있다.
행복의 정의에 대한 이야기를 주로 다루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우리가 조금 더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이전에 읽어본 다른 두 권의 책에 비해서는 조금 더 가볍게 읽어볼 수 있기도 했다. 과도하게 철학적인 접근을 피하고, 실생활에서 우리가 조금 더 행복해지기 위해서 실천할 수 있는 것들에 대한 이야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책은 총 15장으로 이루어져있는데, 각 장이 끝나고 나면 조금 더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는, "TRAINING" 세션이 등장한다. 우리가 한번 실제로 실천을 해볼 수 있는 것들을 적어둔 것이다. 아마 저자는, 책을 읽은 독자들이 책에 적혀있는 방법들에 대해서 시도를 해보길 바라고 있을 것이기도 하다.
삶을 정의하는 햄버거 모델이라고 저자가 이름을 붙이고 있는 부분이다. 삶의 4가지 태도에 대해서, 햄버거를 매개체로 재미있는 비유를 들고 있는 부분이 상당히 흥미있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삶을 정의하는 햄버거 모델은 크게 4가지로 나타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저자는 이야기하고 있다. 바로, 삶의 가치를 현재에 두느냐, 미래에 두느냐로 나누어서, 4가지 모델로 정리를 해본 부분이다.
각각, 성취주의자, 행복주의자, 쾌락주의자, 허무주의자, 4가지의 모델로 나타나게 된다.
특별한 설명이 없어도, 이해를 할 수 있는 부분일 것이다. 행복주의자의 경우가 가장 이상적인 모델로, 현재와 미래의 가치 모두가 긍정적인 +로 나타나는 경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모델의 한가지 적합한 예로, 미래를 위해서 공부를 하지만, 공부 그 자체에도 재미를 느끼고 있어서 현재에도 행복감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저자는 묻는다. "당신은 어느 사분면에 속하는지..."
이러한 철학적인 질문은 상당히 대답하기 난해한 부분이다. "왜?"라는 질문은 개인적으로는 인문학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하는 부분이다. 대부분의 학문이 바로 이 "왜"라는 질문을 통해서 발전해왔기 때문이다.
왜 우리는 행복해지길 원하는가... 대답하기에 정말 난감하면서도 어려운 질문이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든다.
책에서는 간단하게 "인간의 본성이 그러하기 떄문이다."라고 깔끔하게 정리를 하는 입장을 취한다. 영국의 철학자 데이비드 흄은 이렇게 말을 한적이 있다고도 한다. "사람이 하는 모든 노력의 궁극적인 목적은 행복의 달성이다. 행복을 위해 기술을 발명하고, 학문을 육성하고, 법을 만들고, 사회를 형성한다."
과연 우리는 언제 행복하다는 감정을 느끼게 되는가, 저자는 행복을 "즐거움과 의미의 포괄적인 경험"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단순히 현재의 즐거움 뿐만 아니라, 미래의 이익 역시도 투영이 되어야 행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단순히 현재의 즐거움만 추구한다고 하면, 시험을 앞두고, 해야할 공부를 하지 않고 놀게 되면 충분히 즐거울 수 있지만, 미래의 이익(시험 성적을 잘 받을 수 있는 이익)이 사라지기 때문에, 행복하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미래를 위해서만 투자하고 현재를 즐기지 못한다면 그것 역시도 행복하다고 이야기하기가 어려울 것이라고 보면, 정말 그럴 듯한 정의가 아닐까하는 생각을 한번 가져보게 된다.
케넌 셸던과 그의 동료들은 목표와 행복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고 한다.
스스로 선택하고 추구해나가는 자기일치적 목표를 갖기 위해서, "하고 싶은 일과 해야하는 일"을 구분해서 정리해보는 것이 하나의 도움이 될 것이다. 우선 할 수 있는 것 중에서, 하고 싶은 일을 선택하고, 그 중에서도 정말로 하고 싶은 일을 선택하는 것이, 조금 더 행복을 향해 나가아는 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단순한 삶을 추구하는 것이 스트레스 수준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19세기 "월든"의 저자 헨리 데이빗 소로우는 동시대 사람들에게 단순하게 살라고 권유했다고 한다.
해야할 것이 많고 선택할 수 있는 것들이 많은 현대 사회에서는 그것들의 무게에서 잠시나마 벗어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심리학자 팀 카세는 시간의 풍요가 물질의 풍요보다 우리를 더 행복하게 해 줄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또한, 바쁘게 압박을 받으면서 일하게 되면, 창의성을 떨어뜨리게 되면서, 오히려 일의 효율을 떨어뜨릴 수도 있다는 것이다.
시간의 압박에 대한 이야기는 정말 개인적으로 공감이 가는 부분이기도 하다. 해야할 것이 많은, 선택할 것이 많은 현대사회에서는 시간관리를 잘 하지 못하면, 게으르고 나태한 사람으로 점찍어 버리는 풍토가 있기 떄문에, 과도한 스트레스에 시달리며 살아가는 경우가 대부분인 듯 하다. 가끔은, 이러한 무언가를 끊임없이 쉬지 않고 해야한다는 압박에서 벗어나는 것도 "조금 더" 행복한 삶을 사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가져본다.
윈스턴 처칠은 이렇게 이야기를 한 바가 있다고 한다.
각 체제의 속성을 가장 잘 드러내는 말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현대 사회는 과거 사회와는 달리 물질적으로는 이미 풍요로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는, 더 취하려는 노력을 해야할 것이 아니라, 한 가지씩 버려가는 노력을 하는 삶을 살아가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물질적 풍요가 전적인 행복을 가져다 주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이미 여러가지 실험을 통해서 밝혀진 바 있기 때문이다. 물질을 인식한 삶에서 행복을 인식한 삶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 삶을 의미있게 살아내기 위한 중요한 마음가짐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가져본다. "지금 행복해지자."
아이비리그의 3대 명강의로 꼽히는 3가지 주제, 이미 유명하게 알고 있는, 하버드 대학교 마이클 센델 교수의 "정의", 예일 대학교 셸리 케이건 교수의 "죽음", 그리고 그 마지막 3번째 명강의가 바로 하버드 대학교 탈 벤-샤하르 교수의 "행복"을 주제로 한 강의가 되겠다. 사실, 3가지 강의 중에서 가장 먼저 인기를 끈 강의는 아마, "행복"을 주제로 한 이 강의인 듯 하다. 무려 855명의 수강생이 등록하면서 대학에서 수강생이 가장 많은 강좌가 되었다고 이야기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행복의 정의에 대한 이야기를 주로 다루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우리가 조금 더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이전에 읽어본 다른 두 권의 책에 비해서는 조금 더 가볍게 읽어볼 수 있기도 했다. 과도하게 철학적인 접근을 피하고, 실생활에서 우리가 조금 더 행복해지기 위해서 실천할 수 있는 것들에 대한 이야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책은 총 15장으로 이루어져있는데, 각 장이 끝나고 나면 조금 더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는, "TRAINING" 세션이 등장한다. 우리가 한번 실제로 실천을 해볼 수 있는 것들을 적어둔 것이다. 아마 저자는, 책을 읽은 독자들이 책에 적혀있는 방법들에 대해서 시도를 해보길 바라고 있을 것이기도 하다.
삶을 정의하는 햄버거 모델
삶을 정의하는 햄버거 모델이라고 저자가 이름을 붙이고 있는 부분이다. 삶의 4가지 태도에 대해서, 햄버거를 매개체로 재미있는 비유를 들고 있는 부분이 상당히 흥미있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삶을 정의하는 햄버거 모델은 크게 4가지로 나타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저자는 이야기하고 있다. 바로, 삶의 가치를 현재에 두느냐, 미래에 두느냐로 나누어서, 4가지 모델로 정리를 해본 부분이다.
특별한 설명이 없어도, 이해를 할 수 있는 부분일 것이다. 행복주의자의 경우가 가장 이상적인 모델로, 현재와 미래의 가치 모두가 긍정적인 +로 나타나는 경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모델의 한가지 적합한 예로, 미래를 위해서 공부를 하지만, 공부 그 자체에도 재미를 느끼고 있어서 현재에도 행복감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저자는 묻는다. "당신은 어느 사분면에 속하는지..."
책에 등장한 한가지 TRAINING,
각 사분면에 속했던 경험을 적어보고 읽어보는 시간을 가지는 것,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이라고 한다.
각 사분면에 속했던 경험을 적어보고 읽어보는 시간을 가지는 것,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이라고 한다.
왜 우리는 행복해지길 원하는가?
이러한 철학적인 질문은 상당히 대답하기 난해한 부분이다. "왜?"라는 질문은 개인적으로는 인문학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하는 부분이다. 대부분의 학문이 바로 이 "왜"라는 질문을 통해서 발전해왔기 때문이다.
왜 우리는 행복해지길 원하는가... 대답하기에 정말 난감하면서도 어려운 질문이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든다.
책에서는 간단하게 "인간의 본성이 그러하기 떄문이다."라고 깔끔하게 정리를 하는 입장을 취한다. 영국의 철학자 데이비드 흄은 이렇게 말을 한적이 있다고도 한다. "사람이 하는 모든 노력의 궁극적인 목적은 행복의 달성이다. 행복을 위해 기술을 발명하고, 학문을 육성하고, 법을 만들고, 사회를 형성한다."
행복 = 즐거움 + 삶의 의미
과연 우리는 언제 행복하다는 감정을 느끼게 되는가, 저자는 행복을 "즐거움과 의미의 포괄적인 경험"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단순히 현재의 즐거움 뿐만 아니라, 미래의 이익 역시도 투영이 되어야 행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단순히 현재의 즐거움만 추구한다고 하면, 시험을 앞두고, 해야할 공부를 하지 않고 놀게 되면 충분히 즐거울 수 있지만, 미래의 이익(시험 성적을 잘 받을 수 있는 이익)이 사라지기 때문에, 행복하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미래를 위해서만 투자하고 현재를 즐기지 못한다면 그것 역시도 행복하다고 이야기하기가 어려울 것이라고 보면, 정말 그럴 듯한 정의가 아닐까하는 생각을 한번 가져보게 된다.
더 행복해지고 싶다면...
케넌 셸던과 그의 동료들은 목표와 행복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고 한다.
"더 행복해지고 싶어 하는 사람이라면 돈과 미모와 인기와 관련된 목표보다는 성장과 연결과 기여와 관련된 목표, 그리고 강요당하거나 어쩔 수 없이 해야하는 목표보다는, 스스로 흥미를 느끼고 개인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목표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단순한 삶을 추구하는 것!
단순한 삶을 추구하는 것이 스트레스 수준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19세기 "월든"의 저자 헨리 데이빗 소로우는 동시대 사람들에게 단순하게 살라고 권유했다고 한다.
"단순함, 단순함, 단순함! 당신이 하는 일을 백 가지나 천 가지가 아니라 두세 가지로 줄이고, 백만이 아니라 여섯을 세라."
해야할 것이 많고 선택할 수 있는 것들이 많은 현대 사회에서는 그것들의 무게에서 잠시나마 벗어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심리학자 팀 카세는 시간의 풍요가 물질의 풍요보다 우리를 더 행복하게 해 줄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또한, 바쁘게 압박을 받으면서 일하게 되면, 창의성을 떨어뜨리게 되면서, 오히려 일의 효율을 떨어뜨릴 수도 있다는 것이다.
시간의 압박에 대한 이야기는 정말 개인적으로 공감이 가는 부분이기도 하다. 해야할 것이 많은, 선택할 것이 많은 현대사회에서는 시간관리를 잘 하지 못하면, 게으르고 나태한 사람으로 점찍어 버리는 풍토가 있기 떄문에, 과도한 스트레스에 시달리며 살아가는 경우가 대부분인 듯 하다. 가끔은, 이러한 무언가를 끊임없이 쉬지 않고 해야한다는 압박에서 벗어나는 것도 "조금 더" 행복한 삶을 사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가져본다.
자본주의의 고질적인 약점은 행복의 불공평한 분배다.
사회주의의 고질적인 약점은 불행의 공평한 분배다.
각 체제의 속성을 가장 잘 드러내는 말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현대 사회는 과거 사회와는 달리 물질적으로는 이미 풍요로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는, 더 취하려는 노력을 해야할 것이 아니라, 한 가지씩 버려가는 노력을 하는 삶을 살아가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물질적 풍요가 전적인 행복을 가져다 주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이미 여러가지 실험을 통해서 밝혀진 바 있기 때문이다. 물질을 인식한 삶에서 행복을 인식한 삶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 삶을 의미있게 살아내기 위한 중요한 마음가짐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가져본다. "지금 행복해지자."
이미지 맵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