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미현 '유태인 엄마가 들려주는 아이를 가슴으로 키우는 69가지 방법'
우리나라 사람들과 유태인 사이에서 비슷한 점을 찾으라고 한다면, 바로 "교육열"이 아닐까 싶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교육"에 대한 관심이 정말 지대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인데, 유태인 역시도 그에 못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한 때, 국가를 잃고 민족만 남은 유태인들 다시 국가를 되찾는 과정에서 큰 힘을 발휘한 것에는 아마도 그들의 "교육"이 중심에 있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비록, 나라를 재건한 과정에서 찜찜한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고, 그것 때문에 지금까지도 팔레스타인에 분쟁이 끊이지 않고 있긴 하지만... 그래도 배울 점은 배워야 할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다.
사람들은 유태의 어머니를 "이디시 마마"라고 부른다고 한다. 이디시 마마라는 뜻은 "아이들을 즐겁게 보살핀다는 뜻"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학교와 학원의 "지식"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지는 우리나라와 다른 부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유태인의 교육 기본은 특별해 보이지만 실상은 특별하지 않다. 그들의 교육은 바로 "관계"에 바탕을 둔 "인격 형성"에 바탕을 둔 "덕성교육"이 바로 유태의 기본 교육 방침이라고 한다. 사실, 한 때는 우리나라도 이러한 교육이 근간이 되었지만, 근대화가 되면서 우리나라는 미국식 공교육 방침을 따라가는 바람에 이러한 전통적인 교육방식이 많이 무너진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든다.
"교육의 핵심은 소통"
책은 총 10개의 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장 안에 세부적인 내용으로 교육을 함에 있어서 실천할만한 사항을 언급해 놓았다. 책 속에 있는 다양한 내용을 한 단어로 요약해본다면, 아마 "소통"이 아닐까 싶다. 그만큼 유태인의 교육에 있어서는 아이 역시도 하나의 인격체로 대하면서, 함께 살아가는 존재로 인식하는 존재로 보는 생각이 근본을 이루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소통을 중시하다보면, 자연스럽게 대화를 많이 해야하게 되고, 대화를 하는 과정에서 아이의 생각을 들어볼 수 있게 되는 부분이다. 무엇에 관심을 가지는지, 왜 그러는지에 대해서 들어볼 수 있는 부분이 아닐까 싶다. 이러한 부분이 바로, 교육의 핵심이 아닐까 생각을 해본다.
"자녀를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아직까지 경험을 해보지는 않았지만, 자녀를 교육하는 일은 정말 쉽지 않은 일이라는 생각이 든다. 아직은 내가 자녀를 교육할 만한 입장에 있는 사람이 아닌지라, 자연스럽게 내가 어렸을 때 어떻게 자랐는가에 대해서 책을 읽으면서 생각이 났다. 내 경험에 비추어보니 제대로 "교육"을 한다는 것은 정말 쉬운 일이 아닐까 싶다.
교육은 정말 쉽지 않은 것일까? 분명 쉽지 않은 것임에는 분명해 보인다. 하지만, 책에서 제시한 원칙들을 지킨다면, 교육이 꼭 어려운 것만은 아니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아이 역시도 하나의 인격체로 대해주고 소통을 시도하는 것에서 시작해서 돌발 상황에 대해서 감정보다는 이성적으로 대처해 나가는 노력을 해야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
우리나라 교육에 있어서의 모순점, 어른들은 그렇게 하지 않는데 아이들에게만 강요하는 그런 교육을 하려고 하니 자연스럽게 교육이 어려워지는 것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단순히 공부를 하라고 타이르지 말고, 집안의 어른들이 집에서 자연스럽게 공부를 하는 모습을 아이들에게 보여주면, 아이들이 그러한 모습을 보고 자연스럽게 따라하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그래서 개인적으로는 집에 여태까지 TV를 들여놓지 않고 있기도 하고, 추후에도 들여놓지 않을 생각이다. 대신, 책장에 책을 가득 꽃아놓고 지금처럼 수시로 읽는 모습을 보인다면, 그것이 진정한 교육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혼자만의 생각이지만...
우리나라 사람들과 유태인 사이에서 비슷한 점을 찾으라고 한다면, 바로 "교육열"이 아닐까 싶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교육"에 대한 관심이 정말 지대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인데, 유태인 역시도 그에 못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한 때, 국가를 잃고 민족만 남은 유태인들 다시 국가를 되찾는 과정에서 큰 힘을 발휘한 것에는 아마도 그들의 "교육"이 중심에 있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비록, 나라를 재건한 과정에서 찜찜한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고, 그것 때문에 지금까지도 팔레스타인에 분쟁이 끊이지 않고 있긴 하지만... 그래도 배울 점은 배워야 할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다.
사람들은 유태의 어머니를 "이디시 마마"라고 부른다고 한다. 이디시 마마라는 뜻은 "아이들을 즐겁게 보살핀다는 뜻"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학교와 학원의 "지식"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지는 우리나라와 다른 부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유태인의 교육 기본은 특별해 보이지만 실상은 특별하지 않다. 그들의 교육은 바로 "관계"에 바탕을 둔 "인격 형성"에 바탕을 둔 "덕성교육"이 바로 유태의 기본 교육 방침이라고 한다. 사실, 한 때는 우리나라도 이러한 교육이 근간이 되었지만, 근대화가 되면서 우리나라는 미국식 공교육 방침을 따라가는 바람에 이러한 전통적인 교육방식이 많이 무너진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든다.
"교육의 핵심은 소통"
책은 총 10개의 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장 안에 세부적인 내용으로 교육을 함에 있어서 실천할만한 사항을 언급해 놓았다. 책 속에 있는 다양한 내용을 한 단어로 요약해본다면, 아마 "소통"이 아닐까 싶다. 그만큼 유태인의 교육에 있어서는 아이 역시도 하나의 인격체로 대하면서, 함께 살아가는 존재로 인식하는 존재로 보는 생각이 근본을 이루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소통을 중시하다보면, 자연스럽게 대화를 많이 해야하게 되고, 대화를 하는 과정에서 아이의 생각을 들어볼 수 있게 되는 부분이다. 무엇에 관심을 가지는지, 왜 그러는지에 대해서 들어볼 수 있는 부분이 아닐까 싶다. 이러한 부분이 바로, 교육의 핵심이 아닐까 생각을 해본다.
"자녀를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아직까지 경험을 해보지는 않았지만, 자녀를 교육하는 일은 정말 쉽지 않은 일이라는 생각이 든다. 아직은 내가 자녀를 교육할 만한 입장에 있는 사람이 아닌지라, 자연스럽게 내가 어렸을 때 어떻게 자랐는가에 대해서 책을 읽으면서 생각이 났다. 내 경험에 비추어보니 제대로 "교육"을 한다는 것은 정말 쉬운 일이 아닐까 싶다.
교육은 정말 쉽지 않은 것일까? 분명 쉽지 않은 것임에는 분명해 보인다. 하지만, 책에서 제시한 원칙들을 지킨다면, 교육이 꼭 어려운 것만은 아니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아이 역시도 하나의 인격체로 대해주고 소통을 시도하는 것에서 시작해서 돌발 상황에 대해서 감정보다는 이성적으로 대처해 나가는 노력을 해야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
우리나라 교육에 있어서의 모순점, 어른들은 그렇게 하지 않는데 아이들에게만 강요하는 그런 교육을 하려고 하니 자연스럽게 교육이 어려워지는 것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단순히 공부를 하라고 타이르지 말고, 집안의 어른들이 집에서 자연스럽게 공부를 하는 모습을 아이들에게 보여주면, 아이들이 그러한 모습을 보고 자연스럽게 따라하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그래서 개인적으로는 집에 여태까지 TV를 들여놓지 않고 있기도 하고, 추후에도 들여놓지 않을 생각이다. 대신, 책장에 책을 가득 꽃아놓고 지금처럼 수시로 읽는 모습을 보인다면, 그것이 진정한 교육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혼자만의 생각이지만...
각 장의 큰 제목들...
1장: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인식하라.
2장: 세상에 완벽한 부모는 없다.
3장: 다른 사람의 눈을 두려워하지 마라.
4장: 칭찬과 격려의 한마디가 아이를 변화시킨다.
5장: 애정 표현에도 양면성을 발휘하라.
6장: 자녀에게 바라는 것을 내가 먼저 실천하라.
7장: 남에게 도움을 주는 사람으로 키워라.
8장: 스스로 좋은 습관을 갖게 하라.
9장: 아이들은 싸우면서 자란다.
10장: 부모의 자존심보다 아이를 먼저 생각하라.
1장: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인식하라.
2장: 세상에 완벽한 부모는 없다.
3장: 다른 사람의 눈을 두려워하지 마라.
4장: 칭찬과 격려의 한마디가 아이를 변화시킨다.
5장: 애정 표현에도 양면성을 발휘하라.
6장: 자녀에게 바라는 것을 내가 먼저 실천하라.
7장: 남에게 도움을 주는 사람으로 키워라.
8장: 스스로 좋은 습관을 갖게 하라.
9장: 아이들은 싸우면서 자란다.
10장: 부모의 자존심보다 아이를 먼저 생각하라.
이미지 맵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