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후의 보루? "마지노선"
마지노선이라는 용어가 있습니다. 이는 제법 잘 알려진 용어로 우리의 일상에서도 사용하는 용어 중의 하나이기도 하지요. 일반적으로 문맥 속에서 사용하는 마지노선은 "최후의 수단", "최후의 보루"와 같은 의미를 지닙니다.
그래서 마치 "배수진"과도 비슷한 어감으로 쓰이는 표현이지요. 이번에는 이렇게 우리가 "마지노선"이라고 사용하는 용어는 어디에서 나온 것인지 한 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마지노선(MAGINOT LINE), 프랑스가 독일과의 국경에 건설한 방어 라인"
마지노선은 1927년부터 1936년까지 프랑스가 독일과의 전쟁을 앞두고 국경에 건설한 방어 라인을 가리킵니다. 이 방어선 구축에는 엄청나게 많은 비용이 들어서, 160억 프랑이 들었는데요.
이 방어선 구축을 제안한 사람이 바로 "육군성 장관"이었던 "앙드레 마지노(ANDRE MAGINOT)"였습니다. 하지만, 이 계획을 실제로 실현시킨 사람은 그의 후임자였던 "폴 팽르베(PAUL PAINLEVE)"였다고 하지요.
이 계획은 1926년에 입안이 되었고, 1927년부터 공사가 시작이 되었습니다.
"1차 세계대전 이후 출혈이 너무 컸던 프랑스"
프랑스는 1차 세계대전 이후 많은 출혈을 겪게 됩니다. 그리고 1차 세계대전의 흐름은 "참호전"으로 진행이 되게 되었는데요. 그래서 이러한 참호를 더욱더 강화시킨 방어 라인을 구축했던 것이 바로 "프랑스"의 마지노선이었던 것이지요.
프랑스는 독일을 상대로 영토를 하나도 빼앗기지 않겠다는 의지를 다지면서 이렇게 독일과의 국경선에 엄청난 양의 벙커를 구축하면서 요새를 구축하게 됩니다.
△ 마지노선의 설계도
△ 마지노선의 위치와 독일이 선택한 우회 전략
"엄청난 위력의 요새가 건설된 마지노선"
마지노선의 원래 기안자였던 마지노는 적의 공세에 대한 조기 경보와 지연전을 수행할 수 있는 단출한 방어선을 국경에 구축하고자 하였으나, 이후 실제로 계획을 추진한 팽르베는 이 곳에 거대한 요새를 구축하는 방식으로 추진을 하게 됩니다.
다중 철조망, 대전차호, 포대, 기관총 등을 탑재한 요새에 지하에는 지휘소와 탄약고, 식량창고, 내부 철도망 등의 엄청난 방어 라인을 구축하게 되지요.
그래서 이 마지노 라인을 일반적인 병력으로 뚫으려고 했다가는 엄청난 사상자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이러한 요새의 성능을 눈치챈 독일은 마지노선을 향해서 돌격을 한 것이 아니라, 다른 곳을 공격하기로 합니다.
△ 마지노 벙커라인
"벨기에를 통해서 돌아서 프랑스로 진격한 독일군"
이렇게 독일과 프랑스의 국경에는 엄청난 방어리인이 구축되어 있었지만, 벨기에와도 국경을 마주하고 있던 프랑스는 "벨기에" 측에는 방어 라인을 형성할 수 없었습니다. 원래 프랑스의 계획은 벨기에와의 국경에도 이러한 방어 라인을 구축하는 것이었으나, 벨기에 측에서 극렬하게 반대하여, 어쩔 수 없이 방어 라인을 구축할 수 없었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벨기에를 먼저 침공한 독일은, 방어 라인이 완벽하게 형성되어 있지 않았던 프랑스와 벨기에의 국경을 이용해서 프랑스를 침공했답니다. 이로 인해서 결국, 프랑스는 독일에 함락당하고 말았지요.
그래서 역사 속에서의 마지노선은 이렇게 허무하게 마감이 되고 말았습니다. 천문학적인 금액을 들여서 엄청난 방어 라인을 구축했지만, 결국 다른 방어선이 뚫리면서 거의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되었지요. 어찌 보면 프랑스의 흑역사로 남게 된 사건이기도 하답니다.
여기까지, "마지노선"에 대해서 한 번 살펴보았습니다. 슬픈 역사를 담고 있는 용어가 아닐까 하지요.
이미지 맵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