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뮤어(John Muir) '나의 첫 여름(My First Summer in the Sierra)'
얼마 전에 읽었던 헨리 데이빗 소로우의 "월든"에 이어서 이번에도 자연을 예찬하는 미국 작가의 수필을 한번 더 읽어보게 되었다.
아무래도 이번 학기에, "생태문학의 이해"라는 수업을 듣기 때문에, 자연과 관련된 책을 많이 읽게 되는 것 같아서 좋은 것 같다.
이 수업을 듣지 않았다면, 아마도 이렇게 자연에서 생활을 한 것에 대한 기록을 해둔 수필을 읽어보려고 평생 읽어보려고 하지 않았을지도 모르니 말이다.
아무튼, 이 책을 쓴 존 뮤어라는 작가는 상당히 대단한 사람이었던 듯 하다.
헨리 데이빗 소로우와 함께 미국을 대표하는 자연주의자이자 20세기 환경 보전 운동의 선구자, 그리고 300여편의 논문과 기고문, 10여권의 저술을 남긴 작가라고 한다. 그리고, 요세미티를 비롯하여, 세퀘이아, 그랜드캐니언 등을 국립공원으로 지정하는 데 큰 공헌을 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업적으로 인하여, 국립공원의 아버지라고 불리기도 한단다.
책의 내용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자면, 기본적인 뼈대는 이러했다. 작가인 존 뮤어에게 어느 날, 양떼의 주인인 딜레이니씨가 양떼를 몰고 요세미티 산맥으로 같이 떠나자고 제안을 한다. 그리고, 존 뮤어는 그 제안을 받아들이고, 양떼를 이끈 사람들과 같이 이동하여 다니며, 6월 3일부터 9월 22일까지 하루하루 일기를 쓰며, 주변의 자연 경관에 대해서 묘사를 하고, 감탄을 하기도 하는 것이었다.
270페이지에 달하는 분량 동안, 딱히 특별한 사건이 없이, 자연을 묘사하고 예찬을 하고 있기에 사실 책을 읽기가 상딩히 쉽지는 않았다. 아무래도 책이 애초에 우리나라 글로 쓰인 것도 아니고, 영어로 쓰여진 것을 번역을 했기 떄문에, 가끔 문맥의 흐름을 놓치는 경우도 있었고, 글이 눈에 잘 들어오지도 않았을 뿐더러, 특별한 사건이 없었기 때문에 가끔은 지루하게 느껴지기도 했다. 하지만, 이러한 책이 주는 느낌은 신선하면서도 좋은 것 같다. 직접 눈으로 자연을 보지는 못하지만, 다른 사람의 글을 통해서 나만의 상상의 나래를 펼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책을 읽으면서 아쉬운 점은 존 뮤어라는 작가가 1869년에 본 요세미티 산맥의 모습을 내가 생생하게 볼 수 없다는 것인데, 아무래도, 책에서 그려내는 멋진 대자연의 모습을 나는 여태까지 살아오면서 제대로 본 적이 없기 때문일 것 같았다. 보지 않은 것을 상상해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기때문이다.
커다란 스토리 이외에, 자잘한 이야기들이 많이 없는 편이었다. 아무래도 애초에 흥미를 불러일으키기 위해, 다음 내용이 어떻게 될 지 궁금증을 유발하기 위해서 쓴 책이 아니긴 하다보니, 전반적인 책의 이야기가 조금 느슨해질 수도 있는데, 그 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았던 부분이 있다면, 중간에 작가인 존 뮤어가 자신의 오랜 친구가 주변에 도착했다고 직감적으로 알아채고, 친구를 찾으러 가는 장면이었다. 과연 어떻게 될 것인가, 그의 예감이 맞을 것인가, 틀릴 것인가, 이러한 궁금증을 가지고 다음 이야기를 궁금해하면서 급박하게 책장을 넘겼던 몇 안되는 장면 중의 하나였던 듯 하다. 가끔은 인간의 초인적인 힘이 감당이 되지 않는 수준의 것이 있을 수도 있다는 것... 다시 한번 생각을 해보게 된 것 같다.
마지막에는 지금 현재 수업을 하고 계신 "김원중" 교수님의 글이 등장한다. 바로 옮긴이의 글이라는 부분인데, 이 책을 김원중 교수님과 이영현님이 같이 번역을 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 책을 제대로 번역을 하기 위해서, 요세미티까지 갔다가 왔다는 교수님의 글 부분을 읽으니, 대단하구나 하는 느낌을 간접적으로 나마 느낄 수 있었다. 무엇이 대단한가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로, 그 자체로 대단하다는 말이 가장 어울릴 것 같았다.
아무튼, 수업을 위해 읽은 책이지만, 이런 기회를 통해서 이렇게 마음이 푸근해지는 책을 읽으니 좋은 것 같다.
책을 읽는 동안은 잠시 나마 "요세미티"로 다녀온 듯한 착각을 받았으니 말이다.
얼마 전에 읽었던 헨리 데이빗 소로우의 "월든"에 이어서 이번에도 자연을 예찬하는 미국 작가의 수필을 한번 더 읽어보게 되었다.
아무래도 이번 학기에, "생태문학의 이해"라는 수업을 듣기 때문에, 자연과 관련된 책을 많이 읽게 되는 것 같아서 좋은 것 같다.
이 수업을 듣지 않았다면, 아마도 이렇게 자연에서 생활을 한 것에 대한 기록을 해둔 수필을 읽어보려고 평생 읽어보려고 하지 않았을지도 모르니 말이다.
아무튼, 이 책을 쓴 존 뮤어라는 작가는 상당히 대단한 사람이었던 듯 하다.
헨리 데이빗 소로우와 함께 미국을 대표하는 자연주의자이자 20세기 환경 보전 운동의 선구자, 그리고 300여편의 논문과 기고문, 10여권의 저술을 남긴 작가라고 한다. 그리고, 요세미티를 비롯하여, 세퀘이아, 그랜드캐니언 등을 국립공원으로 지정하는 데 큰 공헌을 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업적으로 인하여, 국립공원의 아버지라고 불리기도 한단다.
책의 내용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자면, 기본적인 뼈대는 이러했다. 작가인 존 뮤어에게 어느 날, 양떼의 주인인 딜레이니씨가 양떼를 몰고 요세미티 산맥으로 같이 떠나자고 제안을 한다. 그리고, 존 뮤어는 그 제안을 받아들이고, 양떼를 이끈 사람들과 같이 이동하여 다니며, 6월 3일부터 9월 22일까지 하루하루 일기를 쓰며, 주변의 자연 경관에 대해서 묘사를 하고, 감탄을 하기도 하는 것이었다.
270페이지에 달하는 분량 동안, 딱히 특별한 사건이 없이, 자연을 묘사하고 예찬을 하고 있기에 사실 책을 읽기가 상딩히 쉽지는 않았다. 아무래도 책이 애초에 우리나라 글로 쓰인 것도 아니고, 영어로 쓰여진 것을 번역을 했기 떄문에, 가끔 문맥의 흐름을 놓치는 경우도 있었고, 글이 눈에 잘 들어오지도 않았을 뿐더러, 특별한 사건이 없었기 때문에 가끔은 지루하게 느껴지기도 했다. 하지만, 이러한 책이 주는 느낌은 신선하면서도 좋은 것 같다. 직접 눈으로 자연을 보지는 못하지만, 다른 사람의 글을 통해서 나만의 상상의 나래를 펼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책을 읽으면서 아쉬운 점은 존 뮤어라는 작가가 1869년에 본 요세미티 산맥의 모습을 내가 생생하게 볼 수 없다는 것인데, 아무래도, 책에서 그려내는 멋진 대자연의 모습을 나는 여태까지 살아오면서 제대로 본 적이 없기 때문일 것 같았다. 보지 않은 것을 상상해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기때문이다.
커다란 스토리 이외에, 자잘한 이야기들이 많이 없는 편이었다. 아무래도 애초에 흥미를 불러일으키기 위해, 다음 내용이 어떻게 될 지 궁금증을 유발하기 위해서 쓴 책이 아니긴 하다보니, 전반적인 책의 이야기가 조금 느슨해질 수도 있는데, 그 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았던 부분이 있다면, 중간에 작가인 존 뮤어가 자신의 오랜 친구가 주변에 도착했다고 직감적으로 알아채고, 친구를 찾으러 가는 장면이었다. 과연 어떻게 될 것인가, 그의 예감이 맞을 것인가, 틀릴 것인가, 이러한 궁금증을 가지고 다음 이야기를 궁금해하면서 급박하게 책장을 넘겼던 몇 안되는 장면 중의 하나였던 듯 하다. 가끔은 인간의 초인적인 힘이 감당이 되지 않는 수준의 것이 있을 수도 있다는 것... 다시 한번 생각을 해보게 된 것 같다.
마지막에는 지금 현재 수업을 하고 계신 "김원중" 교수님의 글이 등장한다. 바로 옮긴이의 글이라는 부분인데, 이 책을 김원중 교수님과 이영현님이 같이 번역을 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 책을 제대로 번역을 하기 위해서, 요세미티까지 갔다가 왔다는 교수님의 글 부분을 읽으니, 대단하구나 하는 느낌을 간접적으로 나마 느낄 수 있었다. 무엇이 대단한가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로, 그 자체로 대단하다는 말이 가장 어울릴 것 같았다.
아무튼, 수업을 위해 읽은 책이지만, 이런 기회를 통해서 이렇게 마음이 푸근해지는 책을 읽으니 좋은 것 같다.
책을 읽는 동안은 잠시 나마 "요세미티"로 다녀온 듯한 착각을 받았으니 말이다.
이미지 맵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