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47 조동사 “CANNOT / CANNOT HAVE P.P”
조동사는 기본적으로 기본 의미와 추측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복잡하게 되는 것이 기본 의미가 시제와 결합하는 경우와 추측 의미가 시제와 결합하는 모양이 달라서 복잡하게 됩니다.
그래서 “CAN”의 경우에는 굉장히 많은 다양한 형태가 등장하게 되지요.
“CAN”
1. 기본 의미 : … 할 수 있다.
2. 추측 의미 : … 이다. (부정형의 경우, … 일리가 없다.)
CAN이 가지는 의미는 위와 같이 정리해볼 수 있는데요. 여기에서 부정을 만들게 되면,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CANNOT”
1. 기본 의미 : … 할 수 없다.
2. 추측 의미 : … 일 리가 없다.
우선은 먼저 CANNOT의 기본 의미로 쓰인 문장부터 살펴보도록 하지요.
“I can’t sleep.” (나는 잠을 잘 수 없다.)
“Tom can’t come here tomorrow.” (톰은 내일 여기에 올 수 없다.)
“Mira cannot speak English.” (미라는 영어를 못 한다.)
위와 같은 문장들이 1번 기본 의미로 쓰인 문장입니다. 추측 의미로 쓰인 문장은 아래와 같은 문장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You have just had lunch. You cannot be hungry already.” (너는 막 점심을 먹었으니, 배가 고플 리가 없다.)
“They haven’t lived here for very long. They can’t know many people.” (그들은 여기 오래 살지 않았으니, 많은 사람들을 알 리가 없다.)
이렇게, CANNOT의 형태를 정리해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에서 “강한 추측의 부정”의 의미를 과거 형태로 이야기를 하고 싶어 지기도 합니다.
그래서 CANNOT을 과거로 보내기 위해서 COULD NOT으로 만들게 되면, 의미가 바뀌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지요. 내가 의도했던 것은 “… 일 리가 없다.”는 의미를 담은 강한 확신을 과거로 보내고 싶었던 것인데, “COULD NOT”으로 만들게 되면, 확신도가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그래서, 온전히 그 의미를 그대로 “과거”로 보낼 수가 없게 되지요. 그래서, 이번에도 다른 형태를 빌려서, “의미”는 그대로 두면서 시간을 과거로 보내는 선택을 하게 됩니다. 이렇게 나온 형태가 “CANNOT HAVE P.P”라는 형태이지요.
“CANNOT HAVE P.P = 강한 확신이 과거로 간 경우 : … 했을 리가 없다. / … 일리가 없다.”
그래서, 이 표현은 강한 확신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시간을 과거로 보내는 표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문장을 통해서 한 번 살펴보도록 하지요.
“Sam cannot have been hungry at that time.” (샘은 그 시간에 배가 고팠을 리가 없다.)
“She cannot have done such a bad thing.” (그녀가 그렇게 나쁜 짓을 했을 리가 없다.)
“Tom walked into a wall. He cannot have been looking where he was going.” (톰은 벽에 부딪혔다. 그는 어디로 가고 있는지 봤을 리가 없다.)
이렇게 정리를 해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GRAMMAR IN USE 교재에서는 “CANNOT HAVE P.P”와 “MUST HAVE P.P”를 함께 소개하고 있기도 한데요. 이 부분은 “MUST”를 먼저 살펴보고 나서 계속해서 이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미지 맵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