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비드 로랜스(David Herbert Lawrence) '말장수의 딸(The Horse Dealer's Daughter)'

데이비드 로랜스(David Herbert Lawrence) '말장수의 딸(The Horse Dealer's Daughter)'


데이비드 로랜스(David Herbert Lawrence) '말장수의 딸(The Horse Dealer's Daughter)'

인간의 깊은 영혼에서 나오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 나쁠 것이 없다.

Human Relation, 원시주의(Primitism)를 중시했던 작가, 데이비드 로랜스가 했던 말이다. 그가 작품 속에서 가장 밝히고 싶어 했던 것은 아마, 인간 관계가 아닐까 싶다. 그리고 그는 그 인간 관계의 핵심이 "남녀 관계, 성(性)"에 있다고 믿는 작가 중의 하나이기도 했다.

데이비드 로랜스 그가 살았던 시대인 1885년에서 1930년, 그는 어쩌면 시대를 100년 정도 앞서간 작가라고 할 수 있을 것 같기도 하다. 그가 살았던 시기는 여성의 적극적인 성 표현은 문제의 대상이 되던 시대였기 때문이다. 자연스럽게 로랜스는 작가로서 인정을 받지도 못했고, 그가 쓴 작품들은 외설로 생각되며, "외설죄"로 법정 공방을 벌이게 되기도 했다고 한다.



100년을 앞서간 작가, 로랜스

시대를 앞서갔던 작가 로랜스, 광부인 아버지와 교사인 어머니의 사이에서, 그는 정체성의 혼란을 겪었을 듯 하기도 하다. 어린 시절, 그는 어머니로부터 물려받은 "Intelligence, refinement", 지식과 깔끔한 것만 중요하다고 인식했지만, 후에 전통에 반기를 들게 되며, 아버지로부터 물려 받은 조잡함(Coarseness) 또한 중요한 것으로 생각을 하게 되었다고 한다. 자연스럽게 이 둘이 오묘하게 결합이 되며, 인간 관계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이 아닐까 싶다. 인간의 삶은, 관계가 핵심이며, 그 관계 속에는 좋은 것과 나쁜 것이 항상 공존하는 법이니 말이다.


그래, 메이블, 이제 어쩔 셈이냐?

몰락한 말 장수의 자손들이 모여서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에 대해서 회의를 하는 장면에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그들의 아버지 Joseph Pervin은 무식하지만 한 때 유능한 말장수였다. 어머니가 돌아간 후, 딸 메이블(Mabel)은 아버지에게 애정을 쏟지만, 아버지는 재혼해버리고, 아버지와의 관계는 벌어지게 된다.

아버지가 돌아간 후, 집안은 점점 기울게 되고, 마지막 남은 말 4마리 마저 팔려나가는 상황이 벌어진다. 네 남매, Joe, Fred, Malcolm은 Mabel에게 누나인 Lucy의 집에나 가라고 독촉한다. 그들의 모습에서 남매간의 애정과 보살핌은 눈꼽만큼도 찾아볼 수 없는 듯하다.

의사 Jack Fergusson이 이들의 집에 방문한다. Jack은 Mabel에게 관심이 없는 척 하지만, 그러면서도 그는 Mabel을 계속 쳐다보며 관심을 갖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 Mabel은 어머니의 묘지를 찾아가 묘비를 닦고, 그 주변에서 일을 하던 Jack은 우연히 이를 보게 되고, 둘은 눈을 마주치게 되며, Jack은 묘한 느낌을 받는다.

Jack은 다시 환자들을 돌보다가 다른 곳에 왕진을 가기 위해 길을 나서는데, 왕진을 가는 도중, 우연히 Mabel이 자살하려고 연못으로 뛰어드는 모습을 목격하고 그를 살리기 위해서 연못에 뛰어든다. 가까스로 Mabel을 연못에서 건져낸 그, Mabel에 집에 그를 눕히고 담요로 몸을 감싼 뒤, 위스키를 먹여 정신이 들게 한다. 위스키를 마시고 정신이 든 Mabel은 갑작스럽게 Jack에게 자신을 사랑하냐고 묻고, Jack은 당황한다. Mabel은 계속해서 "당신은 날 사랑해요."라고 말하며, 그의 다리에 키스를 퍼붓는다. Mabel은 그가 자신을 사랑하는지 확신하지 못해 눈물을 흘리고, 이런 모습에서 Jack은 연민을 느끼고 진짜로 그를 사랑하게 된다.



다양한 상징적인 요소들...

작품에서는 다양한 상징적인 것들이 등장한다.
우선 가장 크게 볼 수 있는 "연못"은 죽음의 공간인 동시에 재탄생의 공간을 상징하는 듯 해 보인다. 연못으로 죽기로 결심하고 들어갔던 Mabel이 살아나오면서 Jack을 욕망하게 되는 재탄생을 경험하게 된다고 볼 수 있는 부분이 아닐까 싶다.

"말"은 정력, 성욕, 힘, 부를 상징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고, 재미있는 것은 말과 같은 동물들과 Mabel의 오빠와 남동생들, Joe, Fred Henry, Malcolm 3형제가 동물에 비유되는 장면이 자주 등장한다는 점이다. 이렇게 동물에 비유되는 인물들을 통해서 "어두운 남매의 미래"를 표현하려고 하지 않았을까 하는 추측을 해볼 수 있는 부분이다.

"위스키"는 서로에게 눈을 뜨게 하는 각성제 정도로 생각할 수 잇을 것 같은 부분이다.
"젖은 옷"이 벗겨지는 것은 음울했던 Mabel의 과거가 잊혀진다는 의미로 해석을 할 수 있을 것 같은 부분이기도 하다.

이렇듯, 이 작품에서는 상징적인 요소를 많이 사용한 듯 해보이기도 하다.



모더니즘을 이끈 선두주자, 로랜스

이 작품의 문예사조로는 "모더니즘" 작품이라고 한다. 문예사조에는 크게 관심은 없지만, 수업 시간에 언급을 하고 넘어간 부분이니 간략하게나마 정리를 해두려고 한다. 모더니즘적인 특징으로는 "예술을 위한 예술(Art for Art's sake)"을 가장 큰 특징으로 들 수 있을 것 같다. 대중을 위한 작품을 쓰는 것이 아니라, 작가 스스로 만족하기 위해서 작품을 써내는 것이다.

그리고 주관적인 진실만을 중요한 것으로 보며, 전통과의 단절을 추구하는 1차 대전 이후에 등장한 문예 사조라고 한다. 이러한 문예사조적인 측면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시 한번 따로 정리를 해두어야 할 것 같은 부분이다. 여기서는 이 정도로 간략하게만 언급하고 넘어가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사실주의 문학에서는 관념, 이성, 도덕만 존재한다고 하는데,
이에 반해, 모더니즘 문학에서는 감정, 육체, 성(性) 등의 원초적인 방향으로 무게 중심이 이동한다고 한다. 이렇게 무게중심이 이동시킬 수 있었던 것이 로랜스의 업적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는 부분이다.

사실주의 문학에서는 주로 "~해서 영원히 행복했다."라는 식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는 경우가 많은데, 모더니즘 문학에 들어오게 되면서, 사랑과 증오, 두 요소가 서로 맞물리며 왔다갔다하는 형식의 이야기가 많이 전개가 된다고 한다.


작품을 읽는 내내, Winter Dreams만큼이나 흥미진진한 느낌을 가졌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만큼, 인간의 원초적인 면을 자극하는 그런 소설이라고 할 수 있겠다. 'Mabel의 갑작스러운 유혹 앞에 버텨낼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있을까?'하는 생각이 머리 속에 들기도 한다. 이 작품 역시, 로랜스가 추구한 대로, 인간의 원형적인 모습, 사람 사이의 관계에 주목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소인배

Since 2008 e-mail : theuranus@tistory.com

    이미지 맵

    도서관/서평 다른 글

    이전 글

    다음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