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한 대로 이루어지는 "피그말리온 효과"
"피그말리온 효과(PYGMALION EFFECT)"라는 말을 곳곳에서 흔히 들어볼 수 있습니다. 주로 심리학 분야에서 많이 들어볼 수 있는 심리학 이론 중의 하나입니다. 피그말리온 효과를 쉽게 이야기해보면 "무언가에 대한 사람의 믿음이나, 기대, 예측이 실제로 일어나는 경향"을 가리키는 이론인데요. 1964년 미국의 교육심리학자 로버트 로젠탈에 의해서 실험되기도 했습니다.
"무언가에 대한 어떤 사람의 믿음이나, 기대, 예측이 실제로 일어나는 현상"
이렇게, 어떤 대상에 대한 믿음이나 기대, 예측이 실제로 일어나는 현상을 가리키는 용어로 "피그말리온 효과"라고 하는데요. 특히 교육심리학에서는 심리적 행동의 하나로 "교사의 기대에 따라서 학습자의 성적이 향상되는 것"을 가리키기도 합니다.
"로젠탈의 쥐 실험"
원래 로젠탈은 로젠탈과 포드가 대학에서 심리학 실험으로 학생들에게 쥐를 통한 미로 찾기 실험을 기획했습니다. 그 결과 미로를 잘 찾는 그룹과 잘 찾지 못한 그룹 간의 실험에서 차이를 발견하게 되었는데요. 길을 잘 찾은 쥐들의 경우에는 학생들이 정성을 다해서 쥐를 키운 반면, 길을 잘 찾지 못하는 그룹의 경우에는 학생들이 쥐에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여기에서 로젠탈은 쥐에 거는 기대도에 따라서 결괏값이 달라진다고 생각을 했고, 이를 바탕으로 학생과 교사 사이의 관계도 이와 유사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되지요.
"로젠탈의 교육 현장에서의 실험"
로젠탈은 이러한 가정을 바탕으로 새로운 실험을 기획하게 됩니다. 교육현장에서의 실험은 1964년 봄, 샌프란시스코의 한 초등학교에서 하버드식 돌발성 학습능력 예측 테스트라는 보통의 지능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각 학급의 담임 선생님에게는 앞으로 수개월 간 성적이 오르는 학생을 산출하기 위한 조사라고 설명했지만, 실제로는 조사의 결과에 관계없이 무작위로 뽑은 학생 명부를 담임 선생님에게 보여주면서 "이 학생들은 수개월 안에 성적이 향상될 학생"이라고 일러주었습니다.
이후, 담임 선생님은 학생들의 성적이 향상될 것이라는 기대를 품었고, 결과적으로 그 아이들의 성적이 향상되었습니다. 결국, 담임 선생님의 기대가 학생들의 성적을 향상시켰다고 할 수 있지요.
△ 그리스 신화에서의 피그말리온
"그리스 신화에서의 피그말리온(PYGMALION)"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피그말리온 효과"는 위와 같은 실험에서 나온 결과의 내용을 바탕으로 사용하는 내용입니다. 그래서 어떤 대상에 대한 기대가 실제로 일어나는 현상을 가리키는 말로 주로 사용되지요.
이러한 "피그말리온"이라는 이름은 그리스 신화에서 나왔습니다. 그리스 신화에서 "피그말리온"이라는 남자는 현실의 여성에게 환멸을 느끼고, 이상형을 직접 제작하고, 신에게 빌어 조각을 인간으로 만들고 결국 그 조각상과 결혼하고 자식까지 두는 인물로 그려지지요.
피그말리온은 "키프로스" 섬에서 살았으며, 직업은 조각가였는데요. 주로 상아로 여성들을 조각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피그말리온은 현실의 여성에 대해 흥미가 사라지는 대신, 자신이 직접 만든 여성 조각상과 사랑에 빠지게 됩니다. 결국, 피그말리온은 "비너스(아프로디테)" 여신에게 "이 여인을 닮은 여자를 제 짝으로 내려주십시오."라고 기도를 올리게 되는데요. 이 기도를 받은 아프로디테는 피그말리온의 말을 알아차리고 조각상을 사람으로 만들어주게 됩니다.
이와 같은 신화에서 "간절히 바라면 이루어진다."의 이야기가 흘러나오게 되었고, 이는 결국 "어떤 대상에 대한 기대가 실제로 일어나는 현상"을 가리키는 "피그말리온 효과"로 번지게 된 것이지요.
여기까지, "피그말리온 효과"에 대해서 한 번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습니다.
이미지 맵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