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 2008년즈음, 제가 블로그를 거의 처음 시작했을 때, 뭐라도 적어서 올려야겠다고 생각을 하고, 그 때 봤었던 다큐멘터리를 후기 형식으로 한번 올려봤었는데요. 원래는 그냥 지워버리려고 하다가... 그래도 써둔 것이 아쉬워서, 이렇게 수정을 해서 다시 발행을 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 프로그램 정보
언제 방송이 됐던 건지는 잘 모르겠지만, 소인배닷컴은 이제서야 이런 프로그램이 있다는 것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철도, 기차를 참 좋아하는지라, 이런 내용의 다큐멘터리라면 언제든지 환영인데요.
이 프로그램은, 일본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원제목은 "出発進行!全国ローカル線巡礼"이고, 총 13편까지의 시리즈가 있다고 하는 듯 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는 "출발! 일본기차여행"이라는 제목으로 Channel J에서 방영이 되었다고 하네요.
- 프로그램 내용
이 프로그램에는 철도를 직접 타고 여행을 하는 형식으로 진행이 되며, 중간 중간에 거쳐가는 역의 특징, 선로의 역사 등에 대한 설명도 함께 되어 있어서 철도를 궁금해하시는 분들에게 상당히 유용한 프로그램인 듯 합니다.
그리고, 독특한 철도도 중간중간에 자주 보였던 듯 하고... 이제는 구경조차 힘들어진 증기기관차도 있고, 일본 특유의 아프트식 철도, 테블린 교환(?), 무인역 등등등.... 철도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야기가 가득한 내용입니다.
우선, 노선 소개와 함께, 출발을 합니다.
위에 사진은... 신카나야 역에서 볼 수 있는, SL 증기기관차라고 합니다.
아주 한참 전에야 운행이 되고... 이제는 더 이상 운행이 되지 않는 그런 열차입니다.
그리고, 다시 연기를 내뿜으며 힘차게 출발을 하는 기차!
예전에는 목재 운반 철도로 쓰였던 철도가...
이제는 더 이상 필요없게 되어서, 관광 철도로 운행을 하고 있다는 그런 철도의 이야기입니다.
그리고, 오랜 역사가 담겨있는 역들의 이야기...
낡아 보이기는 하지만 뭔가 편안한 느낌이 들어온다고 해야할까요?
요것이, "아프트식 철도"라는 것입니다.
두 개의 레일 중앙에 톱네궤도를 부설해서 경사가 급한 곳에서 열차가 미끄러지는 것을 막아주는 철도라고 하네요.
그리고, 등장하는 특이한 역들... 오른쪽의 아름다운 역은 플랫폼 조차 없이, 자연과 잘 어우러져 있는 모습입니다.
그리고... 종점에 다다르는 우리의 철도... 종점에 다다르고, 다시 철도를 타고 왔던 곳으로 돌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이 보입니다.
"철도를 타는 것 자체가 여행의 목적"인 것처럼 보이는 그들의 여행이네요.
이번에는 이번 프로그램의 두 번째 코스, 코스 소개와 함께 출발을 합니다.
사람이 없는 무인역이라고 하는 곳입니다.
무인 등대는 들어봤지만, 무인역은 처음 들어보는 듯 하네요.
요코타 역에 가면, "태블릿 교환"을 하는 것을 볼 수 있다고 합니다.
태블릿은, 선로가 하나뿐인 곳에서 열차 운행시에 태블릿이 있는 열차만 통과시켜 충돌을 방지하는 하나의 약속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마침내 종점에 다다르고, 이 프로그램의 1편은 끝이 납니다.
아마, 다음 포스팅에서 2편의 내용을 포스팅하게 될 텐데, 제가 2편까지밖에 보지 못해서, 나머지 부분은 포스팅을 하지 못하게 될 듯 합니다.
- 마치며...
일본의 철도 소개에 관한 프로그램을 보고 나니, 기타 여행을 가고 싶은 마음이 갑자기 솟아 오릅니다.
제가 조금만 더 우리나라에서 하는 "내일로"이벤트를 일찍 알았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많이 듭니다.
나이 제한이 있어서 이제는, 신청조차 할 수 없는 그런 이벤트인데요. 예전에는 내일로 여행에 관해서 아는 사람들이 많이 없어서 내일로 여행을 하는 사람들을 거의 볼 수가 없었는데, 요즘에는 많은 사람들이 그 여행에 대해서 잘 알고있고 해서, 주변에 내일로 여행을 떠난다는 친구들을 보면 부럽기가 그지 없습니다.
그래도... 이렇게, 영상으로나마, 여행기를 시청할 수 있으니,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일본의 철도 소개 프로그램, 아무래도 흔한 철도를 소개하기보다는 느리고 특이한 철도를 소개하는 프로그램인 듯 해보입니다.
바쁘게 지나가는 것이 아니라, 느리지만 삶의 여유를 느낄 수 있는 그런 철도와 열차...
바쁜 일상 속에서도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는 것이 중요할 듯하네요.
이미지 맵
댓글